20. 공덕(功德)
使君 禮拜 自言 和尙說法 實不思議 弟子嘗有少疑 欲問和尙 望和尙 大慈大悲 爲弟子說
사군이 예배하고 말하였다.
“화상의 설법은 참으로 부사의합니다. 제자가 일찍이 작은 의심이 있어 화상께 말씀드리고자 하오니, 화상께서는 대자대비로 제자를 위하여 설하여 주옵소서.”
大師言 有疑卽問 何須再三
대사께서 말씀하시길,
“의문이 있다면 곧 물으라. 어찌 두 번 세 번 다시 물을 이유가 있겠느냐.”
使君問 法 可不是西國第一祖達磨祖師宗旨
사군이 물었다.
“대사께서 설하신 법은 서쪽나라에서 온 제일조 달마조사의 종지가 아닌지요?”
大師言是
“그렇느니라.”
弟子見說 達磨大師化梁武帝 問達磨 朕 一生已來 造寺布施供養 有功德否 達磨答言 並無功德 武帝惆悵 遂遣達磨 出境 未審此言 請和尙說
“제자가 들은 바로는 달마대사께서 양무제를 교화하실 때 양무제가 달마대사께 이렇게 물었습니다.
‘짐이 평생 절을 짓고 보시공양하였는데 공덕이 있소?’
그러자 달마대사께서 말씀하시길,
‘공덕이 없습니다.’
이 말에 불쾌해진 무제가 달마를 나라 밖으로 쫓아보냈다 하였는데, 이 말을 잘 모르겠으니 화상께서는 설해 주소소.“
六祖言 實無功德 使君 勿疑達磨大師言 武帝著邪道 不識正法
육조께서 말씀하시길,
“실로 공덕이 없느니라. 사군아, 달마대사의 말씀을 의심치 말라. 무제는 삿된 도에 집착하여 정법을 모르니라.”
使君 問 何以無功德
사군이 묻기를,
“어찌하여 공덕이 없사옵니까?”
和尙 言 造寺布施供養 只是修福 不可將福 以爲功德 功德在法身 非在於福田 自法性 有功德 見性是功 平直是德 內見佛性 外行恭敬 若輕一切人 吾悟我不斷 卽自無功德 自性虛妄 法身 無功德 念念德行 平等直心 德卽不輕 常行於敬 自修身 卽功 自修心 卽德 功德 自心作 福與功德別 武帝不識正理 非祖大師有過
화상께서 말씀하시길,
“절을 짓고 보시공양하는 것은 단지 복을 닦는 것이니라. 복을 공덕이라 여기지 말라. 공덕은 법신에 있지 복밭에 있지 않도다. 자기의 법성에 공덕이 있고, 성품을 보는 것이 공덕이며, 평등하고 곧음이 곧 공덕이로다. 안으로 불성을 보고 밖으로 공경하라. 모든 사람을 경멸하고 자기를 끊지 못하면 곧 스스로 공덕이 없는 것이다. 자성이 허망하여 법신에 공덕이 없느니라. 생각생각마다 덕을 행하여 마음이 평등하고 곧으면 공덕이 곧 가볍지 않다. 항상 공경하고 스스로 몸을 닦음이 곧 공이요, 스스로 마음을 닦음이 곧 덕이니라. 공덕은 자기 마음으로 짓는 것이다. 복과 공덕이 이렇게 다를진대, 무제가 바른 이치를 알지 못하였으니 달마대사께 허물이 있지 아니하니라.”
蕭湛 拜
'***중국선불교 > 육조단경(六祖檀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조단경 22. 수행 (0) | 2007.09.11 |
---|---|
육조단경 21. 서방극락 (0) | 2007.09.11 |
육조단경 19. 죄를 없앰 (0) | 2007.09.09 |
육조단경 18. 단박에 깨침 (0) | 2007.09.07 |
육조단경 17. 성품을 봄 (0) | 2007.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