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81

[명법문 명강의]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 서명원 신부

[명법문 명강의]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 서명원 신부 [크게][작게] 나 집착한 삶은 무의미 참선의 가치는 보살행 기사등록일 [2010년 01월 05일 10:11 화요일] 이 자리에 오른 것은 제가 어떻게 수행을 했는지 소개해 달라는 부탁을 받아 경험을 말씀드리기 위해서입니다. 불교학을 공부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깨달음에 이르는 붓다의 수행법 / 무산본각

『불설대안반수의 경』에 체계적으로 시설되어 있는 여섯 가지 수행 관문 수(數), 수(隨), 지(止), 관(觀), 환(還), 정(淨). 오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잊혀져간, '유일한 길' 혹은 '성스러운 길'이라 부르는 붓다의 정통 수행법을 복원한 저술.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어 혼..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9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9 가장 수승한 보시 들어가는 말 2종류의 보시가 있다. 1. 헤아릴 수 없는 선한 과보를 가져오는 보시 2. 과보가 전혀 없는 보시 어떤 형태의 보시를 좋아하는가? 대답해보라. 나는 보시에 관한 붓다의 바램을 말하고자 한다. 여러분의 바램과 붓다의 바램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닷킨나 ..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8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8 제자와 가르침에 대한 붓다의 소원 붓다의 삶에 대한 의지 포기 붓다께서는 벨루와 마을에서 마지막 안거(vassa)를 보내셨다. 그 때에 그분께 극심한 통증이 일어났다. 안거의 보름날 과거의 업 때문에 날카롭고 참을 수 없는 등의 통증이 그를 덮쳤다. 과거 어느 생에서 사캬붓다가 될 우리의 보..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7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7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이전 법문에서 다섯 번째와 첫 번째 방법으로 연기를 식별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했다. 오늘은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닙바나를 얻기 위해서는 16가지 통찰지를 점진적으로 개발해..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6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6 12연기를 관찰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이전의 법문에서 정신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했고, 그 앞의 법문에서 물질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이미 말한 대로 정신과 물질을 식별할 수 있다면, 그 원인도 또한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연기(paticcasamuppāda)를 식별하는 것을 말한다. 연기는 ..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5 / 파아욱

법문5 정신을 분석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지난번 법문에서 사대요소 명상을 개발하는 방법과 깔라파라 불리는 물질의 분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오늘은 법문에서 위빠사나 수행의 두 번째 단계인 정신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정신을 식별하는데 알아야 하는 기초 이론을 간락하..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4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4 물질을 식별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오늘은 물질의 요소를 분석하는 사대요소 명상에 대해 설명하겠다. 물질은 오온의 첫 번째이다. 나머지 4개는 정신이다. 정신은 물질에 의존한다. 마음은 각각의 물질 토대에 의존해서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눈, 귀, 코, 혀, 몸의 물질에서는 문과 토대가 같다. ..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3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3 사무량심과 4보호명상을 개발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오늘은 사무량심과 4보호명상을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사무량심은 아래의 4가지 명상 주제이다. 1. 자애(慈)...............................................................................(mettā) 2. 연민(悲)..................................................................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2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2 다른 명상 주제에서 본삼매를 개발하는 방법 이전의 법문에서 아나파나 사띠를 명상 주제로서 사선정까지 개발하는 방법과 5가지 자유자재함을 숙달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앞에서 말했듯이 삼매의 빛이 밝게 빛날 때, 수행자가 원한다면 위빠사나 명상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계속해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