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1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 무념 옮김 법 공 양 이 책은 역자의 허락 없이 출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용을 절대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누구든지 부처님의 정통 가르침을 세상에 알리고자 하시는 분은 법보시용으로 출판하셔서 공..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9.07.28
[스크랩]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수행법 원리포함)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수행법 원리포함) 등록자명: 곽홍남 등록일자: 2007.07.31 조회수: 110 3부 감히 증명되지 않은 내용을 주관적인 관점이긴 하나 극히 합리적인 사고로 쓸까한다. 쓰는 이유는 간단하다. 세상에 많은 종교와 같은 종교 내에서도 많은 이견으로 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분명..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2편)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2편) 등록자명: 곽홍남 등록일자: 2007.05.16 조회수: 251 2부 95년경에 진제스님의 부정으로 남전참묘화두를 들라하니까 무의식중에 무자화두가 들리기에 또 우왕좌왕하다 화두조차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다. 다시 선어록과 옛날 선사들의 고군분투와 향기..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 (1편)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 (1편) 등록자명: 곽홍남 등록일자: 2007.05.16 조회수: 197 이 글을 쓰매 자신의 재주와 능력을 돌아보지 않고 오직 나 자신이 다시 몸을 바꾸어 설사 불문에 들지 못하더라도 스스로 제도하여 영원히 불종자를 보존함과 이 길을 걸어가는 다른 님들이 보다 힘들이지 않고..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 (1편) 나는 이렇게 마음자리에 도달했다. (1편) 등록자명: 곽홍남 등록일자: 2007.05.16 조회수: 197 이 글을 쓰매 자신의 재주와 능력을 돌아보지 않고 오직 나 자신이 다시 몸을 바꾸어 설사 불문에 들지 못하더라도 스스로 제도하여 영원히 불종자를 보존함과 이 길을 걸어가는 다른 님들이 보다 힘들이지 않고..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간화선(8) 화두삼매 # 간화선 (8) 화두삼매 숙면상태서도 화두 뚜렷이 살아있어 내외명철 단계지나면 ‘돈오’ 찾아와 우리는 흔히 깨달음을 향한 수행자의 모습을 은산철벽을 마주하고, 백척간두에서도 한발 더 내딛겠다는 절박함과 결연함으로 묘사하곤 한다. 깨달음 성취를 위해 목숨을 내걸고 화두참구(話頭參究)하..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간화선(7) 재가자들을 위한 화두 참구법 # 간화선 (7) 재가자들을 위한 화두 참구법 초심자는 아침저녁 30분씩 화두 참선 집중할 수 있게 되면 생활 틈틈이 참구 자신의 본래 면목을 찾는 참선수행의 길에는 출ㆍ재가의 구분이 따로 없다. 하지만 매일같이 출퇴근해야하고 내가 의도하지 않은 올가미에 매여 쫓기듯 살아야 하는 재가자들에게 ..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간화선(6) 화두 참구하는 법 간화선 (6) 화두 참구하는 법 이제 선지식에게서 화두를 받았다면 화두를 가지고 참선을 해야 한다. 화두참선을 다른 말로 참구(參究)한다, 든다, 짓는다, 공부한다 등으로 표현한다. 이들 말의 공통점은 화두에 간절한 의심을 일으킨다는데 있다. 화두참구에 염화두(念話頭)와 송화두(頌話頭)라는 말이..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간화선(3) 화두란 무엇인가 # 간화선 (3) 화두란 무엇인가 화두(話頭)를 한자로 풀이하면 화(話)는 말이자 이야기이며, 두(頭)는 화자 뒤에 붙은 접미사로 그저 ‘말’이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그 ‘말’에는 옛 선사들의 숨결과 세월의 두께가 덧붙어져 있어 다시 말하면 ‘옛 선사 스님들이 쓰던 독특한 언어’로 풀이된다. 선사..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
[스크랩] 간화선(2) 한국 간화선의 역사 # 간화선 (2) 한국 간화선의 역사 한국불교에서 간화선이 처음으로 수용된 것은 보조국사 지눌스님에 의해서이다. 지눌스님은 당시 수선사(修禪社, 오늘날의 송광사)에서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는 정혜결사(定慧結社) 운동을 전개했는데, 그 과정에서 대혜종고 스님에 의해 체계화된 간화선이 처음으.. ***풍경소리/요가와 명상, 수행법 2008.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