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5장. 보고 들으나 시비를 가리지 않는다>
含德之厚 比於赤子 蜂蠆虺蛇不螫 猛獸不據 攫鳥不搏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全作 精之至也 終日號而不嗄 和之至也 知和曰常 知常曰明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
德을 두터이 쌓은 사람은 갓난아기와 같다. 벌과 전갈, 살무사, 뱀이 쏘거나 물지도 못하고, 맹수가 덤벼들지도 않고, 억센 날짐승이 후려치지도 못한다. 뼈는 약하고 근육은 부드러우나 그 움켜쥐는 힘은 강하다. 암컷과 수컷의 결합을 알지 못해도 온전히 뻗쳐 있으니, 정기가 가득하다. 종일 울어도 목이 쉬지 않으니, 조화가 지극하다. 조화를 아는 것이 영원함이며, 영원함을 아는 것이 밝음이며, 펼침을 더하는 것이 상서로움이고, 마음이 氣를 부리는 것이 강함이다. 만물은 지나치면 쇠하기 마련이며, 이는 道가 아닌 까닭에서이다. 道가 아니면 곧 그치고 만다.
含德之厚 比於赤子 蜂蠆虺蛇不螫 猛獸不據 攫鳥不搏(함덕지후 차어적자 봉채훼사불석 맹수불거 확조불박)
갓난아기는 道의 상징이자 무위를 실천하는 성인의 비유이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듣기는 하지만, 선악과 시비를 가리지 않는다. 사나운 맹수와 벌레 등은 온갖 번뇌와 욕망의 비유라 이해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이분법적인 분별지의 세계에서 벗어난 성인에게 온갖 탐욕과 망상, 갈애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이는 50장에서의 비유와도 닮았다. “섭생을 잘하는 사람은 뭍을 다녀도 코뿔소와 호랑이를 만나지 않으며, 전장에 나가도 무기가 갑옷을 뚫지 않는다 한다. 코뿔소는 그 뿔을 들이밀 곳이 없고, 호랑이도 그 발톱으로 할퀼 곳이 없고, 무기도 그 칼날을 휘두를 곳이 없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그에게는 죽음이 없기 때문이다.” 삶이 있기에 죽음이 있는 것이며, 또한 죽음이 있기에 삶이 있다.
그런 즉 삶은 죽음의 연장이고, 죽음은 삶의 연장이다. 꿈에서 온갖 고통을 당하다 문득 깨어 안도의 한숨을 내쉬듯, 죽어서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됨을 참으로 다행스럽게 여길지도 모를 일이다. 집안에서 강요하는 바람에 내키지 않은 결혼을 했지만 부인의 헌신적인 내조 덕에 큰 부와 명예를 누리게 된다면, 과거 일을 후회할 것인가? 삶이 영원하지 않다는 사실이 곧 죽음 또한 영원하지 않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삶이 일회적이지 않기에 오히려 삶에 대해서 더없이 진지해져야 한다. 지금의 내 발자취가 뒷날 내 삶의 첫걸음이 될 것이니.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全作 精之至也 終日號而不嗄 和之至也(골약근유이악고 미지빈모지합이전작 정지지야 종일호이불애 화지지야)
비록 뼈는 약하고 근육은 부드러우나, 진리를 움켜진 덕에 그 힘은 더없이 확고하다. 남녀의 교합은 이분법적인 有의 세계의 비유이다. 갓난아기는 이러한 有의 세계에서 벗어나 道의 정기가 가득하므로 천지간의 음양의 교합을 능히 잘 이룬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야겠다. 음과 양이 서로 갈마들듯, 만사를 무리하지 않고 자연의 이치에 따라서 조화롭게 이룬다는 것이다.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다는 얘기는, 어떤 의도가 없이 자연스러운 무위의 행동인 까닭에서이다. 목이 마르면 마르다 하고, 배가 고프면 고프다 한다. 목이 마르지 않을 때에도 목을 축이고, 배가 고프지 않을 때에도 배를 채우는 행위는 유위이다.
知和曰常 知常曰明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지화왈상 지상왈명 익생왈상 심사기왈강 물장즉로 시위부도 부도조이) 조화로움, 즉 陰과 陽, 無와 有를 함께 품음[抱一]이 바로 道이니 영원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道를 깨달으니 안팎으로 밝다. 益生曰祥 心使氣曰强는 해석이 구구하다. 益生曰祥는 ‘삶 또는 수명을 억지로 더하려 하니 불길하다’ ‘삶을 무리하게 탐욕하니 재앙이다’, 心使氣曰强는 ‘마음으로 기를 부리려 하는 것은 강폭한 짓이다’ ‘ 욕심으로 정기를 부리는 짓은 억지다’ 등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허나 필자는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 즉 ‘펼쳐지고 펼쳐지는 것이 道’인 까닭에 펼쳐지고 펼쳐지는 것은 상서로운 것이며, 氣가 마음을 부리는 것이 아닌 마음이 氣를 부리기 때문에 진정으로 강하다는 것이다. 마음이 氣, 즉 바깥 사물을 좇아가면 相에 사로잡혀 탐욕과 망상, 갈애에 젖는다. 허나 마음이 氣를 부리면, 탐욕과 망상에 희롱당할 까닭이 없다.
6조 혜능 선사가 법달에게 <법화경> 법문을 해준 이야기는 18장에서 인용했다. 이는 그 뒷이야기이다.
“법달아, 나는 세상사람들이 마음자리로 항상 부처님의 지견(知見)을 열고, 중생의 지견을 열지 않기를 항상 바라노라. 세상사람의 마음이 삿되면 어리석고 미혹하여 악을 지어 스스로 중생의 지견을 열고, 세상사람의 마음이 반듯하여 지혜를 일으켜 관조하면 스스로 부처님의 지견을 여나니, 중생의 지견을 열지 않고 부처님의 지견을 열면 곧 세상에 나오는[出世] 것이니라. 법달아, 마음으로 행하면 <법화경>을 굴리고 마음으로 행하지 않으면 <법화경>에 굴리게 되나니, 마음이 바르면 <법화경>을 굴리고 마음이 삿되면 <법화경>에 굴리게 되느니라. 부처님의 지견을 열면 <법화경>을 굴리고, 중생의 지견을 열면 <법화경>에 굴리게 되느니라.”
마지막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는 30장의 반복이다. 다시 한번 반복하건대, 만물이 장성하면 쇠하는 것은 不道가 아니라 道이다. 그런 까닭에 여기서 道는 무위로 읽어야 온당하다. 무위가 아닌 유위이므로 일찍 쇠하는 것이다.
'老子와 똥막대기(도덕경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57장.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0) | 2007.08.11 |
---|---|
도덕경 56장. 가까이할 수도 멀리할 수도 없는 (0) | 2007.08.11 |
도덕경 54장. 내 몸으로 타인의 몸을 보고 (0) | 2007.08.11 |
도덕경 53장. 넓은 길을 마다하고 (0) | 2007.08.11 |
도덕경 52장. 구멍을 막으면 근심이 없다 (0) | 2007.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