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어떤 이가 물었다.
"지금 이 국토엔 선이 있다고 하는데 무슨 말입니까?"
스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요동하지도 않고 선에 들지도 않음이 여래선(如來禪)인데, 선이라는 생각을 내는 것조차 떠났다."
4.
어떤 이가 물었다.
"'유정(有情)은 불성이 없고 무정(無情)은 불성이 있다' 한 것은 무슨 뜻입니까?"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으로부터 부처에 이르는 것은 성인이라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이며, 사람에서 지옥에 이르는 것은 범부라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이다.
범부와 성인 두 경계에 물들고 애착하는 마음이 있으면 이를 '유정은 불성이 없다' 라고 하며, 범부와 성인 두 경계와 유·무 모든 법에 갖고 버리는 마음이 전혀 없으며 갖고 버림이 없다는 생각마저도 없으면 '무정은 불성이 있다' 고 하는 것이다.
망정의 얽매임이 없기 때문에 무정(無情)이라 이름하는 것이지 목석이나 허공·노란 국화꽃·푸른 대나무 등 감정이 없는 것을 가지고 불성이 있다 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들에게 불성이 있다고 한다면 그들 중에 수기를 받고 성불했다는 자를 경전에서 볼 수 없는 까닭이 무엇인가?
지금 비추어 깨달음(鑑覺)은 유정의 변화를 받지 않는 점이 푸른 대나무와도 같으며, 모든 근기에 다 응하고 모든 상황을 다 아는 것이 노란 국화꽃과도 같다는 것이다."
다시 말씀하셨다.
"부처님의 단계를 밟아 보았다면 무정에 불성이 있다 하겠지만 부처님의 단계를 밟아 보지 못했다면 유정에게 불성이 없다 하겠다."
5.
한 스님이 물었다.
"대통지승불(大通智勝佛:법화경 화성유품에 나오는 부처님)은 10겁(十劫)을 도량에 앉아 있었는데도 불법이 목전에 나타나지 않아서 불도를 이루지 못하였다 합니다. 어째서입니까?"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겁(劫)이란 '막힘' 또는 '머뭄' 이라고도 하니, 하나의 착함에 머물고 열 가지 착함에 막히는 것을 말한다.
인도에서는 부처(佛)라 하고, 이 땅에서는 그것을 깨달음(覺)이라 하는데, 자기의 비추어 깨달음(鑑覺)이 착함에 막히고 집착되므로 선근인(善根人)에게서 불성이 없다.
그러므로 '불법이 목전에 나타나지 않아 불도를 이루지 못했다' 고 한 것이다.
악에 부딪치는 대로 악에 머무는 것을 '중생의 깨달음' 이라 하고, 선에 부딪치는 대로 선에 머무는 것을 '성문의 깨달음' 이라 하며, 선·악 양쪽에 머물지 않고 머물지 않음을 옮다고 여기는 자를 '이승의 깨달음' 또는 '벽지불의 깨달음' 이라 한다.
선·악 양쪽에 머물지 않고 머물지 않는다는 생각도 내지 않음을 '보살의 깨달음' 이라 한다.
또한 머물지 않고 어디에도 머물 것이 없다는 생각을 내지 않아야만 비로서 '부처의 깨달음' 이라 하니, 마치 '부처가 부처에 머물지 않아야 진실한 복전(福田)이라 이름한다' 고 한 것과 같은 이야기다.
천에 하나 만에 하나라도 홀연히 이를 체득한 자가 있다면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배라 하니, 어디서나 스승이 되어 부처가 없는 곳에서는 부처라 하고, 법이 없는 곳에서는 법이라 하며, 스님 없는 곳에서는 스님이라 하며 '큰 법 바퀴를 굴린다' 고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