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 카샤파(迦葉) 삼형제

slowdream 2007. 12. 28. 17:22
 

2. 카샤파(迦葉) 삼형제



바라나시에서 다섯 출가 수행자의 전향과 장자 아들 야사의 출가 귀의 및 재가 신자의 출현에 의해서 시작된 불교 교단이 그 후 점차로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는 기초가 구축된 것은, 당시의 마가다국과 코살라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도(道)를 구하던 많은 사람들이 석존에게 귀의하고 출가하여, 석존과 함께 교단을 형성해 나갔기 때문이다. 그들은 석존과더불어 출가자의 올바른 생활을 몸소 실천했으며, 전도에 있어서는 멀리 서인도(西印度) 등지에 까지도 나가서 많은 사람들을 출가시킴으로써 교단의 기초를 확고부동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에는 석존에게 귀의하여 석존과 함께 바른 수행의 실천에 힘쓰고 또 석존의 뜻을 이어받은 비구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보드가야 대탑의 동쪽에서 북으로 흐르는 나이란자나 강(니련선하)은 약간 하류에서 모하나 강과 합류하여 화르구 강이 되며, 다시 북으로 흘러서 가야에 이르고 있다. 이 두 강의 합류점에는 현재 자그마한 사당과 한 그루의 나무가 있다. 전설에 의하면 이 곳은 후에 석존에게 귀의한 사화외도(事火外道) 카샤파 삼형제의 한 사람인 나디 카샤파의 유적이라고 한다.


다른 두 형제는 각기 거주지의 이름을 따서 우루빌바 카샤파와 가야 카샤파라고 불리는데, 이들은 보드가야 근교의 우루빌바 마을과 가야교외의 가야 쉬르샤(象頭山)에 살았다고 한다. 이들 세 사람은 각기 수백명의 제자를 거느리고 있어서, 당시 마가다국 내에서는 가장 명성이 높은 종교가였었고 또 빔비사라 왕의 존경을 받고 있었다.


녹야원에서 나와 전도길에 오른 다음, 다시 마가다의 땅을 찾은 석존이 먼저 교화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이 유명한 출가자 교단의 지도자였다고 한다. 이 일파는 머리를 땋고 불을 숭배하면서 수도를 하는데, 해탈을 목표로 했던 것 같지만 자세한 것은 확실히 알 수 없다. 경전에서는 이렇게 삼형제와 신통력을 겨루어서 석존이 그들을 이기고, 그로 인해서 세 사람이 제자들과 함께 석존에게 귀의하게 된 경과를 ‘우루빌바의 신변(神變)’이라 하여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석존은 카샤파를 찾아서 하룻밤 자고 갈 것을 청했다. 더욱이 신성한 불을 모시는 화당(火堂)에서 자게 해달라고 간청했던 것이다. 카샤파는 “나는 상관없으나 저 화당에는 무서운 용이 살고 있으니 그만두는 것이 좋겠오”라고 말했다. 석존은 이럴 줄 미리 알고서도 계속 간청하여 결국 카샤파에게 허락을 받는다. 화당에 들어간 석존은 풀방석을 깔고 좌선에 들었다. 이를 본 용은 노하여 독 연기를 뿜었으나 석존은 용에게 상처는 입히지 않고 신통력만을 빼앗아야겠다고 생각하여 자신의 신통력으로 연기를 내뿜었다.     


용이 더 노해서 불길을 토하자  석존도 화계(火界)삼매에 들어 불길을 토했다. 멀리서 이 광경을 지켜보는 바라문 수행자들은 훌륭한 사문이 용에게 죽음을 당한다고 가여워 했다.  그러나 날이 새자 석존은 신통력을 잃어버린 용을 바리때에 담아 카샤파에게 내보이며 “이것이 당신의 용이요” 라고 말했다. 이에 카샤파는 ‘이 분은 참으로 훌륭한 사문이다. 그러나 나와 같은 아라한에게는 미치지 못할 것이다”고 생각했다. 그러자 석존은 카샤파에게 3,500가지의 신통한 변신을 보여 주었다.


성화당(聖火堂)에 사는 독룡을 굴복시켜 사발에 가두는 이야기 와 큰 홍수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배를 타지 않은 채 걸어서 강을 건넌 이야기 등 신통력에 관한 전설은 불교 조각의 좋은 주제가 되어 있다. 불을 숭배하는 종교로서 유명한 것으로는 고대 이란의 조로아스터교(배화교)가 있는데, 현재 봄베이 주변에 많이 살고 있는 파르시교도는 시체를 신성한 불로 태우는 것을 금하여 ‘침묵의 탑’이라 불리는 곳에 조장(鳥葬)을 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불을 신성시하는 사상은 인도에서도 예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것으로서, 불의신(火神) 아그니에 대한  찬가는 [리그베다]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요즘도 힌두교도의 가정에서는 가옥의 서쪽이나 서남쪽 모퉁이가 화신의 자리로 되어 있으며 또 신혼 가정에서는 맨 처음으로 켜놓은 불을 꺼뜨리지 않고 계속 이어간다. 성인식이나 결혼식 등의 통과의례, 그리고 장례식이나 마을 수호선의 제사 등에도 성스러운 불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카샤파 삼형제는 추운 겨울 밤, 눈이 올 무렵이 되면 나이란자나 강에 들어가서 가라앉았다 떠올랐다 하는 고행을 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물에 의한 고행도 행해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세 사람 가운데서는 먼저 우루빌바 카샤파가 석존에게 귀의하여 머리를 깎고 의식용 도구-사화구(事火具)라고 적혀 있음-를 강물에 흘려보냈다. 강 아래쪽에 살던 나머지 두 사람도 이것을 보고, 자기들의 형제가 개종한 것을 알고는 다함께 석존에게 귀의하기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러한 전승은 마가다국 최대의 종교 도시인 가야로 되돌아 온 석존이, 전통 힌두교와는 다른 출가자교단의 지도자와 격렬한 종교 논쟁이나 또는 종교상의 대결을 통하여 그를 물리치고 불교 교단의 기반을 이 지역에 굳게 구축해 나간 것을 상징해 주는 것이다. 불교 교단은 개종자를 흡수하면서, 계속 확장되고 있었다.


삼형제를 귀의시킨 석존은 가야 쉬르샤로 가서 삼형제와 그의 제자들에 대하여, 인간의 고뇌를 불에 비유한 ‘타오르는 불로부터 벗어난 해탈의 가르침을 폈다.

“모든 것은 불타고 있다. 모든 것이 불타고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눈은 불타고 있다. 색채와 형태는 불타고 있다. 눈의 식별작용은 불타고 있다. 눈의 접촉(색, 형태, 식별작용)은 불타고 있다. 눈의 접촉에 의하여 생기는 감수(感受)는 좋거나 나쁘거나 혹은 그 어느 쪽도 아닐지라도 그것 역시 불타고 있다. 무엇에 의하여 불타고 있는 것인가. 탐욕의 불로, 혐오의 불로, 미혹의 불로 모든 것은 활활 타오르고 있다. 탄생과 노쇠, 죽음과 근심, 슬픔과 고통, 번뇌와 번민에 의해서 불타고 있는 것이다.”

석존이 이와 같이 설법을 했을 때, 천여명의 제자는 모든 번뇌가 씻은 듯이 사라져서 해탈하게 되었다고 한다 ([비나야], 대품)


출처 http://cafe.daum.net/yumhwas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