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 요가와 명상](4) 고른호흡법
길고 깊은 숨 속에 편안함이 있습니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서양인의 사유 체계에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서양의 문화와 습관에 젖어 있는 요즘의 현대인에게 시간이란 그저 약속시간 즉, 학생은 등하교, 직장인은 출퇴근, 주부는 식사 준비, 사업가는 다양한 비즈니스에 대한 약속 등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고대 동양정신이나 우리네 삶 속에 깊이 녹아 있는 시간의 개념은 ‘삶과 죽음’의 철학적 의미를 내포하며, 생명력이 약동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이가 태어나서 한해가 되면 첫돌 잔치를 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한세상 살다 명(命)을 다하면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원래 자신의 출발점으로 회귀하고, 정신적이며 영적인 고향으로 귀일한다는 의미에서입니다. 이는 사람의 몸과 얼과 넋이 원래 왔던 자리인 하늘과 땅으로 되돌아간다는 동양의 순환정신을 말합니다.
생명 탄생이 시작되는 아이의 첫울음 소리는 엄마 자궁의 물 속에서 세상으로 나와 첫 숨을 터트리는 것입니다. 숨의 활동 없이 소리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명이 다하면 숨이 끊어졌다고 하여, 돌아가심의 기준을 ‘숨’ 즉, 호흡에 둡니다. 부처님께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것에 생명이 있고, 그 순간순간 찰나에 깨달음이 있다고 말씀하신 것은 비단 불자만의 진리가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증명이 된 것입니다.
죽음이란 끝이 아니라, 또다른 시작을 예고하는 시간의 순환적인 개념을 포함합니다. 마찬가지로 ‘공간’이란 것도 단순히 장소의 개념이 아니라, 시간과 함께 음양처럼 공존하는 삶과 죽음의 생명활동이 진행되는 곳입니다.
봄이 시작되는 입춘도 지났으니 각자 길고 깊은 호흡으로 올해의 나래를 힘차게 펼쳐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고른 호흡법을 소개합니다.
▲ 방법
①무릎을 꿇고 앉는 금강자세나 결가부좌, 또는 편안한 자세로 앉습니다.
②등과 허리는 곧게 세웁니다.
③팔을 뻗어 어깨에 힘을 빼고 양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즈나나 무드라(집게손가락 끝과 엄지손가락 끝이 맞닿아 있고 나머지 세 손가락은 뻗어 있는 모양)를 하거나 편안하게 둡니다.
④코를 통해 천천히 깊고 고르게 숨을 내쉽니다.
⑤아랫배에 의식을 집중하고 숨을 깊게 들이마시면서 배가 나오도록 하고, 숨을 내쉬면서 배가 들어가도록 합니다.
⑥이런 과정을 5~10분간 되풀이하고 완전 휴식 자세(지난호 참고)를 합니다.
▲ 효과
①혈액 속의 산소를 증가시켜 저항력과 면역력을 강화시킵니다.
②혈압을 조절합니다.
③소화가 잘 됩니다.
④활력이 생겨 기분이 상쾌해집니다. ⑤머리가 맑아지고 집중력이 생깁니다.
〈이승용|홍익요가협회 명예회장 (02)333-2350 www.yogahi.com〉
출처 경향신문
'***풍경소리 > 요가와 명상, 수행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속 요가와 명상](7) 손을 위로 뻗어 늘리기 자세 (0) | 2008.01.24 |
---|---|
[생활속 요가와 명상](5) 3박자 호흡… 들이마시고 멈추고 내쉬기 (0) | 2008.01.23 |
[생활속 요가와 명상](3) 완전휴식자세 (0) | 2008.01.22 |
[생활속 요가와 명상](2) 모관운동 (0) | 2008.01.22 |
[생활속 요가와 명상](1) 금강자세 (0) | 200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