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중도의 철학 4-4. 중도의 철학 실천적 입장의 중도 중도란 ‘majjhimā paṭipadā'의 한역이다. 나누어 설명하면 ’majjhimā'란 ‘중간의’ 또는 ‘적당한’이라는 뜻의 형용사고 ‘paṭipadā'란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 또는 ’행도(行道)‘라는 명사이다. 즉 증도란 ’적당한 실천‘ 또는 ’적도(適度)한 행도‘라는..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4-3. 욕망에 대하여 4-3. 욕망에 대하여 사제의 주제는 욕망 그러면 여기서 잠시 근본불교에서의 실천문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기로 한다. 이와 관련해 먼저 떠오르는 것은 부처님이 바라나시의 교외에 있는 이시파타나 미가다야(仙人主處 綠野苑)의 숲에서 다섯명의 수행자를 만나 말문을 열었던 초전법륜(初轉法輪) ..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4-2. 지혜와 실천 사이 4-2. 지혜와 실천 사이 지혜는 어떻게 실천과 연결되는가 여기서 또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그것은 지혜와 실천의 결부에 관한 것이다. 이미 우리는 지금까지 연기에 대해서 말했고, 무상과 고, 그리고 무아에 대해서 말했다. 그런 것들은 말하자면 불교에서의 지적 요소에 속하는 것이..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4-1 부처님의 세계 4-1 부처님의 세계 부처님의 생각 지금까지 우리는 연기와 무상, 고와 무아, 그리고 열반과 같은 불교의 가장 중심이 되는 개념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우리는 또 다른 문제 한 가지를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그것은 부처님이 당신의 가슴에 그렸던 세계는 도대체 어떤 세계일까, 또 부처님은 도대체 우..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3-7 부처님의 질문(2) 3-7 부처님의 질문(2) 또 하나의 응용문제 이번에는 육처를 주제로 한 응용문제의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한 경*(남전 상응부경전(35ㆍ105)執取. 한역 잡아함경(7ㆍ6) 三受)에 따르면 역시 기원정사에 계실 때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 적이 있었다. 비구들이여, 도대체 무엇이 있음으로써 무..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3-7 부처님의 질문(1) 3-7 부처님의 질문(1) 부처님의 질문 부처님이 그이 제자인 비구들을 위해 하셨던 설법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무상→고→무아의 계열로 이루어진 정형적인 것이었다. 그러한 설법들은 남전 상응부경전 제3권(인간분석에 대한 경전군),*(인간분석에 대한 경전군:khanda vagga. 五蘊에 관한 경전의 집록) 제4..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3-6 열반 (涅槃)(2) 3-6 열반 (涅槃)(2) 모든 강물은 바다로 그 경*(남전 상응부경전(45ㆍ102)海)<6>)은 부처님이 제자들을 위해 설법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기록해 놓고 있다. 비구들이여, 이를테면 여러 개의 큰 강이 있다고 하자. 그 강의 이름은 강가강(恒河) ㆍ야무나강(耶符那河)ㆍ아치라바티강(阿致羅符底河)ㆍ사라..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3-6 열반 (涅槃)(1) 3-6 열반 (涅槃)(1) 구극의 목표는 열반 그러면 그 열반이란 어떠한 경지인가. 여러 가지 해석보다 먼저 부처님의 설명을 기록한 경*(남전 상응부경전(23ㆍ1)魔. 한역 잡아함경(6ㆍ10)魔)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다. 나는 이렇게 들었다. 언젠가 부처님은 사밧티의 제타 숨인 아나타핀..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6
3-5 무아(無我)(2) 3-5 무아(無我)(2) 꽃과 향기의 비유 여기서 한 경*(남전 상응부경전(22ㆍ89)差摩. 한역 잡아함경(5ㆍ1)差摩)에 나오는 이야기를 소개할까 한다. 이 에피소드에서는 무아라는 말이 갖는 미묘한 의미를 잘 묘사하고 있다.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언젠가 수많은 장로 비구들이 코삼비의 고시타(瞿師羅) 동산..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5
3-5 무아(無我)(1) 3-5 무아(無我)(1) 무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부처님이 그의 제자들에게 가르친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의 체계에서 세 번째 항목은 무아이다. 이 무아란 말은 불교의 기본적 술어 가운데서도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이 나오는 것 가운데 하나로서 보다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무..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