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2-4 네가지의 명제(2) 2-4 네가지의 명제(2) 연기공식에 맞춰서 그러면 부처님은 연기의 이법을 어떻게 해서 사제의 체계로까지 바꿔놓았던 것일까. 이에 대해서는 어느 경에서도 설명이 없다. 그러나 조용히 사제설법을 듣노라면 아아 그랬었구나 하고 수긍하게 된다. 먼저 사제의 첫 번째 명제인 고성제(苦聖諦)를 살펴보..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3
2-4 네가지의 명제(1) 2-4 네가지의 명제(1) 나뭇잎을 손에 들고 부처님의 초전법륜 즉 최초의 설법은 이렇게 하여 성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때 설법의 주내용이었다고 생각되는 사제(四諦)에 대해서는 좀더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사제야말로 불교교리의 가장 중요한 기초이기 때문이다. 실로 뒤에 발달한 모든 ..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3
2-3 최초의 설법(2) 2-3 최초의 설법(2) 네 가지 명제 ‘사제설법’이란 네 가지 명제로 된 설법이라는 의미를 가진 말이다. ‘제(諦, sacca)’란 일반적으로 진실 또는 진상을 뜻하는 말로 해석되고 있는 듯하다. 한편으로는 ‘엄숙한 단언’을 의미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오히려 후자의 뜻이 강하다 즉 부처님에 의해 엄숙..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3 최초의 설법(1) 2-3 최초의 설법(1) 녹야원에 이르다 나무 밑에서 여러 가지 생각을 정리하던 부처님은 이윽고 일어나 바라나시를 향해 출발했다. 최초의 설법을 위해서였다. 우루벨라에서 바라나시까지라면 대단히 먼 거리였다. 옛날 사람들은 그 거리를 19유순*(由旬:a distance of about 7 miles, yojana. 거리의 단위. 1유순은 ..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2 정각자의 고독(2) 2-2 정각자의 고독(2) 범천권청의 설화 그러나 부처님은 그때 자기 앞에 놓인 새로운 과제, 즉 설법에 대해서 처음에는 명백하게 주저했다. 한 경전*(남전 상응부경전(6.1) 勸請. 한역 증일아함경(19.1)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렇게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이 우루벨라 네란자라 강변인 아자파..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2.정각자의 고독(1) 2-2.정각자의 고독(1) 정각자의 고독을 설한 경전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성취한 지 얼마되지 않았을 무렵의 일이었다. 한 경* (남전 상응부경전(6ㆍ2) 恭敬. 한역 잡아함경(4ㆍ14) 尊重) 은 그때의 부처님에 대한 얘기를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은 우루..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1 부처님의 깨달음(2) 2-1 부처님의 깨달음(2) 무엇이 있기 때문에 연기의 공식을 말할 때 먼저 생각나는 경*(남전 상응부경전(12.10),大釋迦牟尼瞿曇.한역잡아함경(12.3) 佛縳) 이 있다. 그 전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나는 이렇게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이 사밧티(舍衛城)의 제다 숲 아나타핀디카(Anathapindika; 給孤獨) 동산에 ..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1.부처님의 깨달음(1) 제2장 근본불교의 성립 2-1.부처님의 깨달음(1) 보리수 아래의 깨달음 근본불교의 성립에 대해서 알아보려면 보리수 아래서의 부처님에관해서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 적당 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관해 아함 경전들은 그다지 많은 것을 말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아함경전은 주로 부처님의 설법읋ㅎ..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15
1-3 '근본불교'라는 용어 1-3 '근본불교'라는 용어 불교학계에서 ‘근본불교’라는 용어가 쓰여지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다. 이 용어는 일본의 메이지시대(明治時代) 불교학자 아네자끼쇼지(姉崎正治) 박사가 1899년에 간행한《불교성전사론(佛敎聖典史論)》이란 저서에서 처음 사용했다. 그는 이 저서에서 이른..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15
1-2 경전의 문헌비판 1-2 경전의 문헌비판 합송에 의해 결집된 부처님의 말씀인 법(法)과 율(律)은 2천여 년을 지나 오늘날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남아 있다. 1) 팔리5부(Pañca nikāya) ① 장부경전(長部經典, Dīgha nikāya) 34경 ② 중부경전(中部經典, Majjhima nikāya) 1백52경 ③ 상응부경전(相應部經典, Samyutta nikāya) 56상응 7천7..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