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상대법(對法)
대사께서 문인 법해, 지성, 법달, 지상, 지통, 지철, 지도, 법진, 법여, 신회 등을 불렀다.
대사께서 이르시길,
“너희 열 명 제자들은 가까이 오너라. 너희는 다른 사람들과 같지 아니하니, 내가 멸도한 후에 각자 한 방향의 어른이 될 것이니라. 나의 가르침을 너희는 설법하되, 본래 종취를 잃지 않게 하여라.
擧三科法門 動用三十六對 出沒 卽離兩邊 說一切法 莫離於性相 若有人 問法 出語盡雙 皆取法對 來去相因 究竟 二法 盡除 更無去處
삼과의 법문을 들고 삼십육대법을 써 활용하되 나오고 들어감에 양변을 곧 여의어야 한다. 일체법을 설하디 성품과 모양을 여의치 말라. 누가 법을 묻거든 모두 쌍으로 말을 하여 대법을 취하고, 오고감에 서로 인연하여 결국 두 가지 법을 모두 없애고 가는 곳마저 없어야 할 것이로다.
三科法門者 蔭界入 蔭是五蔭 界是十八界 入是十二入 何名五蔭 色蔭, 受蔭, 想蔭, 行蔭. 識蔭 是 何名十八界 六塵, 六門, 六識 何名十二入 外六塵 中六門 何名六塵 色聲香味觸法 是 何名六門 眼耳鼻舌身意 是
삼과법문이란 음과 계와 입이니라. 음은 5음이며, 계는 18계, 입은 12입을 말함이라. 무엇을 5음이라 하는가. 색음, 수음, 상음, 행음, 식음이니라. 무엇을 18계라 하는가. 6진과 6문, 6식을 가리킴이라. 무엇을 12입이라 하는가. 바깥의 6진과 안의 6문이로다. 6진은 색성향미촉법을 가리키며, 6문은 안이비설신의를 말함이니라.
法性 起六識 眼識, 耳識, 鼻識, 舌識, 身識, 意識 六門六塵 自性 含萬法 名爲含藏識 思量卽轉識 生六識 出六門見六塵 是三六十八 由自性邪 起十八邪 含自性正 起十八正 含惡用卽衆生 善用卽佛 用由何等 由自性對
법의 성품이 육식인 안식, 이식,비식, 설식, 신식, 의식과 육문 육진을 일으키고, 자성은 만법을 품나니 함장식이라 이름하느니라. 생각하면 곧 식으로 전환하여 육식이 일어나 육문을 나와 육진을 본다. 이것이 삼육은 십팔이니라. 자성이 삿되면 열여덟 가지 삿됨이 일어나고, 자성이 바름을 품으면 열여덟 가지 바름이 일어나는 것이다. 악한 작용을 품으면 곧 중생이요, 선한 작용이 곧 부처로다. 작용은 무엇으로 일어나는가. 자성의 대법으로 일어나느니라.
外境無情 對有五 天與地對 日與月對 暗與明對 陰與陽對 水與火對
바깥 경계인 무정에 대법이 다섯 가지 있으니, 하늘과 땅, 해와 달, 어둠과 밝음, 음과 양, 물과 불이 그것이로다.
語與言對 法與相對 有十二對 有爲無爲 有色無色對 有相無相對 有漏無漏對 色與空對, 動與靜對, 淸與濯對, 凡與聖對, 僧與俗對, 老與少對, 大大與少少對, 長與短對, 高與下對
언어와 법과 상에 12가지 대법이 있느니라. 유위와 무위, 유색과 무색, 유상과 무상, 유루와 무루, 색과 공, 움직임과 고요함, 맑음과 흐림, 평범함과 성스러움, 승과 속, 늙음과 젊음, 큼과 작음, 길고 짧음, 높고 낮음이로다.
自性起用對 有十九對 邪與正對, 癡與惠對, 愚與智對, 亂與定對, 戒與非對, 直與曲對, 實與 虛對, 嶮與平對, 煩惱與菩提對, 慈與害對, 喜與嗔對, 捨與慳對, 進與退對, 生與滅對, 常與無常對, 法身與色身對, 化身與報身對, 體與用對, 性與相對
자성이 일으키는 작용에는 19가지 대법이 있다. 삿됨과 바름, 어리석음과 지혜, 미련함과 슬기로움, 어지러움과 고요함, 계율과 그릇됨, 곧음과 굽음, 채워져 있음과 비어 있음, 험함과 평탄함, 번뇌와 보리, 자비와 해침, 기쁨과 분노, 버림과 아낌, 나아감과 물러남, 남과 사라짐, 항상과 무상, 법신과 색신, 화신과 보신, 체와 용, 성품과 모양.
有情無情對 言語 與法相 有十二對 外境有無情五對 自性起有十九對 都合成三十六對法也 此三十六對法 解用 通一切經 出入 卽離兩邊
유정과 무정의 대법인 언어와 법, 모양에 12가지가 있고, 바깥경계인 무정에 5가지, 자성이 일으켜 작용하는 데 19가지, 이렇게 모두 36가지 대법을 이룬다. 이 36대법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일체의 경전에 통하고 나고 듦에 곧 양변을 떠나느니라.
如何自性起用 三十六對共人言語 出外 於相離相 入內 於空離空 著空卽惟長無明 著相惟長邪見
어떻게 자성이 일으켜 작용하는가? 36대법은 사람의 언어와 함께 밖으로 나와 모양에서 모양을 떠나고, 안으로 들어와 공에서 공을 떠나느니라. 공에 집착하면 무명만 기르고, 모양에 집착하면 삿된 견해만 기르게 된다.
謗法 直言不用文字 旣云不用文字 人不合言語 言語卽是文字 自性上說空 正語言 本性 不空 迷自惑 語言邪故
법을 비방하면서 곧 말하기를 문자를 쓰지 않는다 하나, 이미 문자를 쓰지 않는다고 말할지언대 사람이 문자와 합하지도 말하야 할 것이다. 언어가 곧 문자이니 때문이니라. 자성 위에서 공을 말하나, 바르게 말하자면 본디 성품은 공하지 않느니라. 미혹하여 스스로 현혹됨은 언어가 삿된 까닭이로다.
暗不自暗 以明故暗 暗不自暗 以明 變暗 以暗現明 來去相因 三十六對 亦復如是
어둠이 스스로 어둡지 않고 밝음으로 어두운 것이니라. 어둠이 스스로 어둡지 아니하고 밟음으로써 어두워지며, 어둠으로 밝음이 드러나느니, 오고감이 서로 인연한 까닭이로다. 36대법 또한 이와 같도다.”
大師言 十弟子 已後傳法 遞相教授一卷檀經 不失本宗 不稟授壇經 非我宗旨 如今得了 遞代流行 得遇壇經者 如見吾親授
대사께서 열 명의 제자에게 이르시길,
“이후에 법을 전하되 이 한 권의 <단경>을 서로 가르쳐 주어 본래의 종지를 잃지 않도록 하라. <단경>을 이어지니지 않으면 나의 종지가 아니로다. 이제 얻었으니 대대로 유행케 하여라. <단경>을 얻은 사람은 내가 친히 준 것과 같은 것이니라.”
◎ 즉리양변(卽離兩邊: 양변을 떠남) - 양변을 떠남은 中道를 말한 것이니, 불교의 근본 원리이다. 釋尊(석존)은 초전법륜(첫 설법)에서 녹야원 다섯 비구들에게 “여래는 양변을 떠난 中道를 정등각(正等覺) 하였다"고 유명한 ‘중도선언’ 을 하였다.
'용수'도 그의 <대지도론(大智度論) 四十三>에서 양변을 떠난 중도는 ‘반야바라밀'이라고 상세히 말 하였으니, 육조가 항상 고창(高唱)한 '반야(般若)'는 곧 中道를 말한다.
蕭湛 拜
'***중국선불교 > 육조단경(六祖檀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조단경 29. 게송을 전함 (0) | 2007.09.14 |
---|---|
육조단경 28. 참됨과 거짓 (0) | 2007.09.14 |
육조단경 26. 예배하고 법을 물음 (0) | 2007.09.13 |
육조단경 25. 부처님 행 (0) | 2007.09.13 |
육조단경 24. 단박에 닦음 (0) | 2007.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