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6장. 움츠리면 펴지고, 펴지면 움츠러든다>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不可以示人
움츠리고자 하면 반드시 펴주어야 한다. 약하게끔 하려면 반드시 강하게 해주어야 한다. 무너지게 하려면 반드시 번창하게 해주어야 한다. 뺏고자 한다면 반드시 주어야 한다. 이를 가리켜 미묘한 밝음이라 한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긴다. 물고기가 못에서 나올 수 없듯, 나라에 이로운 도구를 사람들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장욕폐지 필고흥지 장욕탈지 필고여지 시위미명)
어찌 보면 노련한 권모술수를 권장하는 처세술의 극치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노자의 가르침은 道와 무위에서 한치도 벗어남이 없으므로, 위의 문장은 조금 달리 받아들여야 한다. 즉, 有와 無의 순환과 그러한 질서를 있게끔 하는 緣起의 법칙을 얘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약해지면 강해지고, 강해지면 약해진다. 움츠리면 펴지고, 펴지면 움츠러든다. 무너지면 다시 흥하고, 흥하면 이내 무너진다. 빼앗기면 받고, 받으면 빼앗긴다. 이것이 세상의 이치인 것이다. 이는 인과(因果)를 뜻하기도 한다. 강해진 것은 약함으로 인한 결과이고, 빼앗김은 받음으로 인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因 속에 果가 있고, 果 속에 因이 있는 것이다. 그런 즉 세상만사에 일희일비(一喜一悲)할 까닭이 없다. 새옹지마(塞翁之馬)인 것이다. ‘미묘한 밝음’은 곧 道이다. 4장의 ‘和光同塵’이 바로 그것이다.
“만물에는 저것 아닌 것이 없고 이것 아닌 것이 없다. 저것만으로는 볼 수 없으나, 저것과 이것을 함께 안다면 알 수 있다. 그런 즉, 저것은 이것에서 나오고, 이것은 저것으로 인하여 비롯한다. 저것과 이것은 서로 마주하여 생긴다는 말이다. 삶은 죽음을 마주하고 죽음은 삶을 마주한다. 가능은 불가능을 마주하고 불가능은 가능을 마주한다. 옳음은 그름을 마주하고 그름은 옳음을 마주한다. 그러므로 이것이 저것이요, 저것이 이것이다.”
佛家에서 中道의 이치를 설파하는 말씀 같다. 허나 이는 장자의 말씀이다. 노자와 장자, 부처를 한묶음으로 여겨도 무리가 없는 것은 이런 까닭에서이다. 종교적인 거부감이 크다면 佛家의 가르침은 젖혀놓고, <도덕경>을 읽은 연후에 또는 동시에 <장자>를 읽으면 노자 철학의 알맹이를 좀더 확실하게 손에 쥘 수 있으리라 믿는다. <장자>는 <도덕경>의 해설서라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니.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不可以示人(유약승강강 어불가탈어연 국지리기불가이시인)
약하게 하려면 강하게 만들어야 하는 것이니, 결국 약함이 강함을 이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방울이 바위를 뚫듯이. 또는 무위는 유위에 비해 어설프고 연약해 보이며 당장의 이해득실에 별 도움이 안 되는 것 같으나, 결국 무위의 승리로 끝난다는 뜻이기도 하다. 앞장에서 ‘무기’를 ‘언어문자, 세속적인 지식’으로 이해함이 노자의 철학에 좀더 가깝지 않겠느냐 했는데, 여기서 ‘나라에 이로운 도구’도 그렇게 이해하는 것이 좀더 나을 듯싶다. 국가 지도자의 말 한마디에 나라의 성쇠와 앞날이 결정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 개인의 운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사람은 늘 선택의 갈림길에 놓여 있기 마련이고, 어떤 생각과 어떤 지식으로 판단을 하고, 어떤 말을 하느냐에 따라 나아갈 길이 판이하게 달라진다. 이는 춘추전국시대에 저마다 목소리를 높인 제자백가를 겨냥한 비난일 수도 있다. 자신의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해 온갖 미사려구(美辭麗句)를 쏟아내지만,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결코 지지 않는다. 이렇듯, 나라를 살찌운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 지혜와 도구를 세상에 드러내기 때문에 오히려 세상이 어지럽게 된다. 여기 이에 걸맞는 장자의 비유가 있다.
“무릇 활과 그물, 주살 따위의 도구를 쓰는 지혜가 많아지자 새들은 하늘에서 어지러이 도망가게 되었다. 낚시ㆍ그물ㆍ통발 등을 쓰는 지혜가 많아지자 물고기들은 물속에서 어지러이 숨게 되었다. 이렇듯 속임수와 중상, 독설, 교활함, 궤변 등이 많아지자 사람들은 변론에 현혹되었다. 그러므로 천하가 어지럽게 된 것이다.”
'老子와 똥막대기(도덕경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38장. 예의란 어지러움의 우두머리 (0) | 2007.08.10 |
---|---|
도덕경 37장. 함이 없으나 못함이 없는 (0) | 2007.08.10 |
도덕경 35장. 담박하여 아무 맛도 없는 (0) | 2007.08.10 |
도덕경 34장. 만물을 입혀 기르나 (0) | 2007.08.10 |
도덕경 33장. 모든 인연을 쉬고 (0) | 2007.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