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譯註 首楞嚴經 제 44 회(제2권<正宗分>見道分:2 發明覺性 直使造悟)

slowdream 2008. 3. 17. 13:59
 


㉯ 辯非合 ㈀ 總問


復次阿難又汝今者妙淨見精 爲與明合인가 爲與明合인가 爲與通合인가 爲與塞合인가


 다시 아난아! 너의 지금 묘정(妙淨)한 보는 성품의 정미로움[見精]이 밝음과 더불어 합(合)해진 것이냐, 어두움과 더불어 합해진 것이냐, 막힘과 더불어 합해진 것이냐?



 ㈁ 別辯


若明合者인댄 至於暗時하야 明相已滅하고 此見卽不與諸暗合이어니 云何見暗이리요


 만약 보는 성품이 밝음과 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두울 때에는 밝은 모습은 이미 사라졌고, 보는 성품이 어두움과는 합하지 않았을 것인데 어찌하여 어두움을 보느냐?



 ㈂ 反辯


若見暗時 不與暗合인댄 與明合者함도 應非見明인댄 卽不見明인댄 云何明合이며 了明非暗


 만약 어두움을 볼 때에 어두움과 합하지 아니하고 어두움을 본다면 밝음과 합하게 되었을 때도 응당 밝음을 보지 못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밝음을 보지 못한다면 어떻게 밝음과 합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또 밝음은 어두움이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알겠느냐?



 ㈃ 例明


彼暗與通及諸群塞 亦復如是하니라


 이밖에 어두움과 통함 그리고 가지가지 막힘에 대해서도 이와 같다.”



 ㉰ 辯非非和 ㈀ 起疑


阿難白佛言호대 世尊如我思惟컨대 此妙覺元 與諸緣塵 及心念慮非和合耶니이다


 아난이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어! 저의 생각 같아서는, 이 묘정(妙精)한 깨달음의 근원이 저 모든 경계[緣塵]와 마음[心]과 생각[念慮]으로 더불어 화합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 正辯 ㉠ 總問


佛言汝今又言호대 覺非和合이라하니 吾復問汝호리라 此妙見精 非和合者인댄 爲非明和爲非暗和爲非通和 爲非塞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네가 지금 다시 ‘묘각(妙覺)은 화합이 아니다’고 하니 내가 다시 너에게 묻는다. 이 오묘한 보는 성품의 정미로움[妙見精]이 섞여 합한 것[和合]이 아니라면 밝음과 섞인 것[和]이 아니냐, 어둠과 섞인 것이 아니냐, 통함과 섞인 것이 아니냐, 막힘과 섞인 것이 아니냐?”



 ㉡ 別辯


若非明和인댄 則見與明 必有邊畔하리니 汝且諦觀하라 何處是明이며 何處是見 在見在明 自何爲畔


 만약 밝음과 섞인 것이 아니라면 보는 성품[見]과 밝음[明]에 반드시 경계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너는 자세히 보아라. 어디까지가 명(明)이며 어디까지가 견(見)이냐? 견이 있고 명이 있다면 어디에서부터 경계를 삼아야 하느냐?



 ㉢ 反辯


阿難若明際中 必無見者인댄 則不相及이라 自不知其明相所在리니 畔云何成이리요


 아난아! 만약 밝게 보일 때 너의 말대로 비화합(非化合)이어서 거기에 반드시 보는 성품[見]이 섞일 수 없다면 견(見)과 명(明)이 서로 미칠 수 없을 것이요, 이와 같이 명상(明相)의 소재도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경계[畔]를 세울 수 있겠느냐?



 ㉣ 例明


彼暗與通及諸群塞 亦復如是하니라


 이 밖에 어두움과 통함 그리고 여러 가지 막힘에 대해서도 이와 같다.



 ㉱ 辯非非合 ㈀ 總問


又妙見精非和合者인댄 爲非明合 爲非暗合 爲非通合 爲非塞合


 다시 이 묘정(妙淨)한 보는 성품의 정미로움[見精]이 비화합(非和合)이라면 밝음과 합(合)한 것이 아니냐, 어두움과 합한 것이 아니냐, 통함과 합한 것이 아니냐, 막힘과 합한 것이 아니냐?



 ㈁ 別辯


若非明合인댄 則見與明性相乖角호미 如耳與明 了不相觸하야 見且不知 明相所在커늘 云何甄明合非合理리요


 만약 밝음과 합(合)이 아니라면 견(見)과 명(明)의 성품이 서로 이그러지는 것이 마치 듣는 것과 밝음이 서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과 같아서 보더라도 명상(明相)의 소재를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합(合)과 비합(非合)의 이치를 밝게 분별할 수 있겠느냐?



 ㈂ 例明


彼暗與通及諸群塞 亦復如是하니라


 그 밖에 어두움과 통함 그리고 막힘에 대해서도 이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