又彼定中에 諸善男子가 見色陰消하야 受陰明白하고 慧力過定하야 失於猛利하면 以諸勝性으로 懷於心中하야 自心已疑是盧舍那하야 得少爲足하리니 此名用心호대 亡失恒審하야 溺於知見이라 悟則無咎니와 非爲聖證이니 若作聖解하면 則有下劣한 易知足魔가 入其心腑하야 見人自言호대 我得無上第一義諦라하리니 失於正受일새 當從淪墮하리라
다시 그러한 선정 가운데 선남자가 색음이 사라지고 수음이 명백함을 보게 되는데, 혜력(慧力)이 정력(定力)보다 지나쳐 너무 맹리(猛利)하면 여러 가지 수승한 성품을 마음에 품어 자기 마음이 이미 노사나불(盧舍那佛)인가 의심하고 적게 얻은 것으로 만족하게 될 것이니 이것을 이름하여‘마음을 쓰되 항상하게 살피지 못하고, 지견(知見)에 빠진 것이다’고 이름한다.
이를 깨달으면 허물이 없겠지만 성인(聖人)이 된 것은 아니니 만약 성인이 되었다는 견해를 짓는다면 바로 하열(下劣)하여 쉽게 만족해하는 마구니가 심장 깊숙이 들어가 사람만 보면‘나는 위없는 제일의제(第一義諦)를 얻었다’고 말하게 되리니 삼매[正受]를 잃고 타락하게 될 것이다.
㉲失守生憂
又彼定中에 諸善男子가 見色陰消하야 受陰明白하고 新證未獲이나 故心已亡일새 歷覽二際하고 自生艱險하면 於心忽然生無盡憂하야 如坐鐵床하고 如飮毒藥하야 心不欲活하야 常求於人호대 令害其命하면 早取解脫이라시니 此名修行에 失於方便이라 悟則無咎니와 非爲聖證이니 若作聖解하면 則有一分常憂愁魔가 入其心腑하야 手執刀劍하고 自割其肉하야 欣其捨壽하며 或常憂愁하야 走入山林하야 不耐見人하리니 失於正受일새 當從淪墮하리라
다시 그러한 선정 가운데 선남자가 색음이 사라지고 수음이 명백하여 새로 증득하지는 못했으나 예전 마음이 이미 없어졌음을 보았기 때문에 색(色)과 수(受)의 두 가지를 두루 볼 수 있다.
이 때 스스로 어지러운 생각을 내면 문득 마음에 끝없는 근심이 생기어 불편하고 딱딱한 의자에 앉은 것 같고 마치 독약을 먹은 것 같아서 살고 싶은 생각이 없어 항상 사람들에게'내 목숨을 끊어주면 빨리 해탈을 얻게 될 것이다'고 말하게 되리니 이것을 이름하여 '수행하다가 방편(方便)을 잃은 것이다'고 한다.
이를 깨달으면 허물이 없겠지만 성인(聖人)이 된 것은 아니니 만약 성인이 되었다는 견해를 짓는다면 한 조각 항상 근심하는 마구니가 심장 깊숙이 들어가서 손에 칼을 잡고 스스로의 살을 깎으면서 죽기를 좋아하기도 하고 혹은 항상 근심하면서 산림(山林) 속으로 달아나 사람을 보지 않으려 하는데 마침내 삼매[正受]를 잃고 타락하게 될 것이다.
㉳妄着生喜
又彼定中에 諸善男子가 見色陰消하야 受陰明白하고 處淸淨中하야 心安隱後하면 忽然自有無限喜生하야 心中歡悅을 不能自止하리니 此名輕安을 無慧自禁이라 悟則無咎어니와 非爲聖證이니 若作聖解하면 則有一分好喜樂魔가 入其心腑하야 見人則笑하고 於衢路旁에 自歌自舞하야 自謂已得無礙解脫이리니 失於正受일새 當從淪墮하리라
다시 그러한 선정 가운데 선남자가 색음이 사라져 수음이 명백함을 보고, 청정에 처하여 마음이 편안해지면 문득 스스로 한량없는 기쁨이 생겨 마음속에 즐거움을 금하지 못하는데, 이것을 이름하여‘경안(輕安)을 제어할 지혜가 없는 것이다’고 한다.
이를 깨달으면 허물이 없겠지만 성인(聖人)이 된 것은 아니니 만약 성인이 되었다는 견해를 짓는다면 곧 한 조각 희락(喜樂)을 좋아하는 마구니가 심장 깊숙이 들어가서 사람만 보면 웃기도 하고, 길거리에서 혼자 노래하고 춤추면서 혼자‘걸림없는 해탈을 얻었다’고 말하게 되는데, 마침내 삼매[正受]를 잃고 타락하게 될 것이다.
㉴見勝生慢
又彼定中에 諸善男子가 見色陰消하야 受陰明白하고 自謂已足이면 忽有無端 大我慢起하고 如是乃至慢與過慢과 及慢過慢과 或增上慢과 或卑劣慢이 一時俱發하야 心中尙輕 十方如來어든 何況下位의 聲聞緣覺가 此名見勝코 無慧自求라 悟則無咎어니와 非爲聖證이니 若作聖解하면 則有一分我慢魔가 入其心腑하야 不禮塔廟하고 摧毁經像하야 謂檀越言호대 此是金銅이 或是土木이요 經是樹葉이며 或是疊花라 肉身眞常어늘 不自恭敬하고 却崇土木은 實爲顚倒이면 其深信者도 從其毁碎하고 埋棄地中하야 疑誤衆生하야 入無間獄하리니 失於正受일새 當從淪墮하리라
다시 그러한 선정 가운데 선남자가 색음이 사라져 수음이 명백함을 보고 스스로 만족해하면 문득 까닭 없이 큰 아만(我慢)이 일어나고 더 나아가 만(慢)과 과만(過慢)과 만과만(慢過慢)과 증상만(增上慢)이 일시에 발생하여 마음 가운데 시방의 여래도 가볍게 여기게 되는데, 하물며 하위의 성문(聲聞)이나 연각(緣覺)이리요.
이것을 이름하여‘색음이 사라졌을 때의 수승함만 보고 수음의 갇힘에서 구원할 지혜가 없다’고 한다. 이를 깨달으면 허물이 없겠지만 성인(聖人)이 된 것은 아니니 성인이 되었다는 견해를 짓는다면 한 조각 큰 아만의 마구니가 심장 깊숙이 들어가서 탑묘(塔廟)에 예배하지 아니하고 경전과 불상을 부수면서 단월(檀越)에게‘이것은 금동(金銅)이요, 이것은 토목(土木)이며, 경전[經]은 나뭇잎이나 첩화일 뿐이나 육신은 진실하고 항상하거늘 이를 공경치 아니하고, 도리어 토목을 숭배하는 것은 참으로 전도(顚倒)된 것이다’고 말하게 되는데, 신심(信心)이 깊은 이도 그를 따라 불상(佛像)을 부수어 땅에다 묻는 등 중생을 의혹케 하여 무간지옥에 들어가게 되며, 마침내 삼매[正受]를 잃고 타락하게 될 것이다.
'***대승경전 > 수능엄경(首楞嚴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譯註 首楞嚴經 제 192 회 (제9권 <정종분> 助道分 2.詳辨魔境 深防邪誤) (0) | 2008.08.11 |
---|---|
譯註 首楞嚴經 제 191 회 (제9권 <정종분> 助道分 2.詳辨魔境 深防邪誤) (0) | 2008.08.11 |
譯註 首楞嚴經 제 189 회 (제9권 <정종분> 助道分 2.詳辨魔境 深防邪誤) (0) | 2008.08.11 |
譯註 首楞嚴經 제 188 회 (제9권 <정종분> 助道分 2.詳辨魔境 深防邪誤) (0) | 2008.08.11 |
譯註 首楞嚴經 제 187 회 (제9권 <정종분> 助道分 2.詳辨魔境 深防邪誤) (0) | 200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