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대해도 괜찮은 생명은 없다 / 이영미 최근 계속 터져 나오는 성 관련 범죄들을 보면 이런 것들이 결코 성욕만의 문제가 아님을 확연히 깨닫게 된다. 성범죄 예방책으로 화학적 거세 논의가 무의미한 것은 아니지만, 단지 남자들의 성욕을 줄인다고 해서 이러한 사회문제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참, 인간이란 묘하다. 자신.. ***풍경소리/착한 글들 2011.10.07
한국불교의 수행법, 무엇이 문제인가 / 마성 인기키워드 : 기 //--> 한국불교의 수행법, 무엇이 문제인가 / 마성 [48호] 2011년 09월 01일 (목) 마성 soocha하nglee@yahoo.co.kr 1. 머리말 마성스님 동국대 불교문화대학원 겸임교수 이제 우리나라도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과거의 화려했던 영광만 되뇌고 있다. 예전에는 불교가 ..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11.09.16
채식주의를 채넘어서 채식하기* / 고미송 //--> 채식주의를 채넘어서 채식하기* / 고미송 [47호] 2011년 06월 01일 (수) 고미송 openfocus@naver.com 1. 들어가는 말 지난 몇 년간 채식(육식)을 주제로 하는 논문들을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글은 채식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이거나 불교의 역사와 교리 속에서 채식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 ***풍경소리/착한 글들 2011.09.14
산길에서 넉넉하면서 외로운 하루, 산길을 오른다 마을과 집, 다양한 형태로 웅크린 차들을 품은 길을 따라 걸음을 내딛는다 나와 함께 흐르는 혹은 역류하는 또한 다양한 모습의 사람들에게 눈길이 부딪히고 곧 흩어진다 집, 자동차, 길, 전봇대, 상가, 자그마한 꽃밭, 가로수, 바위, 새, 사람들.... 산자락에서 .. ***풍경소리/如如한 날들의 閑談 2011.08.24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철학의 동쪽 / 김상환 ―피어시그 지음, 장경렬 옮김 《선(禪)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46호] 2011년 03월 01일 (화) 김상환 kimsh@snu.ac.kr 김상환 서울대 철학과 교수 피어시그 지음, 장경렬 옮김 《선(禪)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어원적 의미의 인문(人文)이 인간적 삶의 무늬라면, 그 무늬는 어떤 경계들이 .. ***풍경소리/좋은 책들 2011.07.12
2. 자연과 인간의 바람직한 관계 / 김종욱 2. 자연과 인간의 바람직한 관계 / 김종욱 김종욱 서울대 강사 [2호] 2000년 03월 10일 (금) 김종욱 서울대 강사 1. 문제의 상황 봄은 왔으나 봄 같지 않구나!(春來不似春) 어김없이 봄은 찾아왔지만, 그 봄을 알리는 새 소리가 숲에서는 들리지 않고, 눈 녹은 산 밑 샛강에서도 물고기는 더 이상 뛰놀지 않는.. ***풍경소리/불교와 인문과학 2011.04.14
1. 선과 악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 김종욱 1. 선과 악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 김종욱 김종욱 서울대 철학사상 연구소 특별연구원 [1호] 1999년 12월 10일 (금) 김종욱 서울대 철학사상 연구소 특별연구원 1. 문제의 상황 그날도 여전히 바빴다. 이렇게 열심히 일해도 자동차 세일즈를 하는 A에겐 요사이 별로 실적이 없었다. 그러나 그날만큼은 모.. ***풍경소리/불교와 인문과학 2011.04.04
아비담마 길라잡이 *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정교한 해설로 일컫는 아비담마. 대승불교에서 그닥 환영받지 못하는 처지이지만 불자라면 어쨌듯 한번쯤 관심을 가져야만 할 대상이다. 무엇보다도 한국불교에서 신비화, 관념화된 '마음'에 대해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는 부분에 공감이 크다. 상하 2권으로 꽤 묵직한 분량.. ***풍경소리/좋은 책들 2011.02.21
빠알리어 경전과 대승경전의 사상적 차이 / 박경준 빠알리어 경전과 대승경전의 사상적 차이 / 박경준 ―《숫따니빠따》와 《법화경》을 중심으로 [44호] 2010년 09월 06일 (월) 박경준 sjkj@dongguk.edu 1. 머리말 박경준 교수 오늘날의 세계불교는 크게 남방불교[또는 남전불교]와 북방불교[또는 북전불교]로 이분된다. 남전불교는 동북아시아에서 일반적으로 ..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11.02.07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불교 텔레비전 사이트에 올려진 동영상 강의. 25분 강의로 23회분. 팔리어로 기록된 니까야 경전을 자주 인용하며,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에서 한치도 멀어질 수 없는 기본적 교리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선불교와 간화선 참선으로 기울어진 한국 불교의 세태에 대한 각.. ***풍경소리/좋은 책들 201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