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1080

인과응보의 두 갈래 이해

인과응보의 두 갈래 이해 인과응보, 인연과보, 업보, 업인과보 등등으로 회자되는 업설은 진리인 연기법과 맞물림과 동시에 어쩌면 우리 현실에 가장 정합적이고 또한 지극히 실용적인 대상입니다. 이는 곧 심오하기 그지없는 진리인 연기법의 깊은 속내의 빗장을 열어젖히는 마중물이라 할까요. 삶에 대한 물음은 소박하고 단순합니다.‘나는, 왜, 어떻게 해서, 여기에 있느냐’입니다.이 물음에 대한 답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표층적이며 통속적이며 일상적입니다. 두 번째는 심층적이며 초월적이며 신비적입니다. 첫 번째의 답은 이렇습니다.‘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착하게 살면 복을 받고, 못된 짓 하면 고통을 받는다 善因樂果 惡因苦果.’크게 반박할 무엇이 없는 이치라 해도, 세상 돌아가는 꼴을 보..

편지 2. 미분, 그리고 언어

미분, 그리고 언어 어떤 한 점에서 또 다른 어떤 한점에 선을 그어하나의 직선을 만들면 기울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축과 y축으로 이루어진 좌표평면에서 xy축 모두 양의 상태인 1사분면의 어떤 하나의 점즉 (a,b)에서 우측으로 a가 x만큼 증가하고 위로 b가 y 만큼 증가한 (a+x,b+y)라는 점을 이어 직선을 그으면 그 두점 사이의 평균변화율, 즉 기울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즉, (b+y) - (b)/(a+x) - (a)b의 증가량을 a의 증가량으로 나눈 값이 기울기입니다따라서 기울기는 x축의 변화가 얼마나 y축의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따라서 평균변화율 즉, 기울기는 두점 사이의 시간 등의 변화에 따른 변화율의 평균을 의미합니다두 점을 연결하는 방법은 무한대의 경우의 수가 ..

<삼프로tv> 기독교인과의 대화

기독교인과의 대화 유튜브 채널 에 흥미로운 자리가 펼쳐졌더군요. 얼마전에 서울대 종교학과 강성용 교수와 불교 얘기를 했던 때문인지 균형을 맞추고자 기독교인인 연세대 김학철 교수를 모셨더군요. 별 감흥은 없었습니다. 유일신론자, 실체론자, 플라톤주의자, 본질과 현상의 이원론자의 강론은 표현이 아무리 매끄럽고 그럴듯해 보여도 그 사유와 논리의 밑천이 어설픈 까닭입니다. 오래전에 기독교인 친구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만약 답을 준다면 저도 기꺼이 기독교인이 되겠다는 조건으로 말이죠. 1. 무지의 문제입니다. 인간은 왜 삶과 그 의미를 모른 채로 태어나는지, 맹목적으로 살다가 죽을 때까지도 자신을 존재케 한 절대자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하는 인간들이 왜 존재하는지 궁금했습니다. 극적인 예로, 선천적 지적 장애인 ..

업(의도)의 중요성

업(의도)의 중요성  삶에서 희로애락을 젖혀놓는다면 생사가 남습니다. 태어남과 죽음이야말로, 우리가 정말 깨우쳐야 할 궁극의 대상입니다. 죽음은 태어남을 조건으로 하기에, 결국 태어남의 조건을 밝히는 것이 관건입니다. 붓다의 가르침에 따르면, 태어남은 존재하고자 하는 갈망을 조건으로 합니다. 12연기에서 10번째 고리인 有(존재)입니다. 존재는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됩니다. 아직 현재 삶의 연장선에 있을 경우에는 경험적 개체인 존재의 성향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현재의 삶이 다한 경우에는 다음 생으로의 윤회 조건으로 전개됩니다. 또한 존재는 집착(取)을 조건으로 형성됩니다. 이것이 바로 업(業)입니다. 업은 생각, 말, 몸짓의 3가지 형태로 드러납니다. 붓다께서는 업을 곧 의도(의지)라 말씀하셨는데, 그 ..

진리인 연기법

진리인 연기법 연기는 ‘상호의존적 발생’입니다.연기하는 법(존재)의 속성은 無常, 苦, 無我입니다.무상은 영원하지 않고 변화한다고는 불만족, 불완전, 실존의 한계상황무아는 고정불변의 실체(아트만)는 없다 연기하는 법의 존재형식은 관계 속에서의 인과적 질서이며,인과는 동시성, 중첩성, 다의성의 성질을 갖습니다. 공시적 차원에서는 이해가 어렵지 않습니다. 부부가 좋은 예입니다. 아내와 남편은 동시적으로 발생합니다. 아내는 남편에게 원인이자 결과이며, 남편 또한 다를 바 없습니다. 그리고 남편과 아내는 다른 상황, 가게에서는 손님이며, 부모 앞에서는 자식이며, 자식 앞에서는 부모이며, 친구 앞에서는 친구이며, 직장에서는 각자의 지위로 존재합니다.그러나 통시적 차원, 전후의 시차가 주어지는 차원에서는 인과의 이..

겉옷과 속옷, 분별과 무분별

겉옷과 속옷, 분별과 무분별  존재의 속성은 ‘無常, 苦, 無我’입니다. 세상만물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형되고 변화합니다. 그렇기에 존재는 늘 불안정하고 불완전합니다. 당연한 이치의 귀결입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제외한 모든 사상과 종교는 여기에서 멈춰 있습니다. 존재가 왜 불안정하고 불완전하느냐에 대한 까닭을 밝히지 못한 것이죠. 그 원인은 바로 ‘무아’입니다. 고유의 자기원인, 자기성질, 곧 실체를 갖지 못하고 연기하기에 존재는 불안정하고 변화합니다. 무아를 이해하지 못하기에 우리는 세계를 ‘실체적’으로 인식합니다. 실체적 인식이란 배타적이고 독립적인 모순대립의 관계를 말합니다. 연기적 인식은 상호의존적 대립의 관계를 가리킵니다. 실체가 없지만 연기하는 존재로서 실재합니다. 연기를 자칫 잘못 이해하..

Rainy something

Rainy something /   사막에서만 길을잃어버리는 것은 아니었다책갈피 사이에서도꿈과 꿈 아닌 것들의 사이그대와 나사랑과 사랑 같았던 것들, 그리고 가끔은길 위에서 길을 잃어버리기도 했다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린다망설임의 걸음들과어긋남의 그림자들,깊게 뿌리내려 주름진 슬픔들은어지러이 길을 재촉하고 아닌듯 저편의 어둠이 내리면모든 색깔에 밀물이 든다 옹색한 살림살이와간간이 내뱉는 기침과 탄식낡은 그물처럼 출렁거리는 記憶들,事物의 표면에 흘러내리는시간의 껍질에마저도 그렇게, 못내 그리웠을까이 모든 것들의 안식과그 모든 것들의 바깥에서.

편지 1

제가 ‘최애’하는 E선생님 반갑습니다. 제가 이런저런 철학자들을 거론하면서 아는 척하는 태도 이면에는 아주 못된 심보가 있습니다. 사실 저는 동양이든 서양이든 철학, 사상, 사유라 일컫는 정신적 행위에 큰 감동이 없습니다. 그 한계가 뚜렷한 까닭입니다. 삶은 ‘생로병사’의 현상적 틀에 갇혀 있지요. 그 누구도 부정하지 못합니다. 헌데, 사유라는 행위는 ‘생사’를 외면하거나 혹은 신비적 영역으로 던져놓고서, ‘희로애락’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몇 달 전 모임에서 K선생에게 이런 얘기를 슬쩍 짓궂게 건넨 적이 있습니다. “K선생, 이제까지의 모든 사유, 철학, 사상은 말입지, 붓다의 가르침에 비교하자면 놀이터에서 흙장난 하는 아이들 수준이거든.” 아...그때 K선생의 표정이 아주 오묘했습니다. 뭐, 이녀석 아..

라깡, 하이데거, 헤겔 그리고 붓다

정신분석학자이며 철학자인 자크 라깡에게 세계는 3가지이다.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상상계는 거울 단계로 이미지화한 자아가 비로소 출현하지만 세계와 자아를 동일시한다. 상징계는 상상계를 벗어나 언어질서와 사회구조에 편입되는 세계이다. 원초적 자아와 세계의 동일성이 깨지고, 성숙한 자아와 타자인 세계와의 대립적 관계가 펼쳐지는 의미생성의 장이다. 실재계는 언어 곧 의식, 사유로써는 포획할 수 없는 언어와 사유의 바깥, 무의식의 장으로, 상상계와 상징계의 경계이면서 동시에 그들을 균열시키는 근원적 힘이다. 라깡은 이를 ‘대상 a'’로, 좀더 직관적인 ‘구멍’으로 지칭한다. 상상계와 상징계는 실재계의 ‘구멍’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불완전하고 불안정하다는 진단이다. 이는 곧 우리 모두 정신질환인 ‘편집증’과 ..

연기적 존재론과 인식론

연기적 존재론과 인식론  2500여년 전 붓다께서 발견한 진리인 연기법은 오랜 세월 전승되면서 윤색되고 변질되고 더 나아가 왜곡된 상태입니다. 부파불교 대승불교를 거치면서 특히 힌두교 사상과 중국의 현학(노장자), 유학 사상의 영향을 크게 받아 그 정도가 심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중관의 공(空) 사상과 화엄의 법계연기 사상으로 인해서 큰 혼란이 빚어졌습니다. 연기법은 쉬운 듯 어렵고, 단순한 듯 복잡하며 심오합니다. 연기법의 정형구는 이렇습니다.“이것이 있음으로써 저것(이것)이 있다. 이것이 발생함으로써 저것(이것)이 발생한다.이것이 없음으로써 저것(이것)이 없다. 이것이 소멸함으로써 저것(이것)이 소멸한다.” 있음과 없음(有無), 발생과 소멸(生滅)은 가장 중요한 인식의 토대이자 관문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