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07

달마, 혜능, 조주, 지눌, 숭산

달마, 혜능, 조주, 지눌, 숭산 양무제가 달마에게 물었다.“내가 불사를 엄청 지었는데 공덕이 어찌합니까?”“없다 無!”또 양무제가 물었다.“당신은 누구요?”“몰라 不識!” 조주 선사에게 제자가 물었다.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는데,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없다 無!" 보조국사 지눌의 말씀이다.但知不會 是卽見性다만 몰라를 안다면 곧바로 성품을 깨닫는다 30여년간 해외포교에 나섰던 숭산스님 (1927-2004)은“다만 모를 뿐, 다만 할 뿐!”을 일갈했다. 無와 不識, 不會는 저렇게 이해할 것이 아니다. 내 아무리 선불교에 비판적이긴 하여도, 이러한 해석 앞에서는 비판에 앞서서 무참해질 수밖에 없다. 선불교의 기치는 단연코 ‘不二, 곧 無分別’이다. 그런 까닭에 아직도 한국의 숱한 선승들과 법..

보편성에 대한 반론

보편성에 대한 반론  살아가면서 누구나 예외없이 늘 자기 자리를 확인하려 애씁니다. 생명의 맹목적 추구인 ‘방향’에 대한 갈구라고 할 수 있겠죠. 안팎에 대한. ‘생명’이 무엇이냐는 물음은 젖혀놓고 가야 합니다. 어쩔 수 없어요. 사유는 초월적 혹은 초월론적 경계는 허락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존재 일반은 ‘보편, 일반’이라는 추상화된 개념으로 정립합니다. ‘어떻게, 어디로’의 최종적 정립이죠. 역사 이래로 철학이라는 고상한 옷을 입은 모든 사유가 이 경계에 머물러 있고, 좀더 세련되게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이라고 가지쳐 왔습니다. 며칠 전 철학모임에서 ‘不定과 否定’에 대한 깊은 이해의 자리가 주어졌어요. 정말 즐거웠는데, 같이하지 못한 친구들의 자리가 좀 아쉽긴 했습니다. 어쨌든, 의 저자인 들..

근심과 멧돼지 / 조영관

근심과 멧돼지 / 조영관  한 사람을 사랑하기가 이리 힘든 것은내 안의 깊은 근심 때문이다, 라고썼다가 지운다. 이를테면 이러한 우울이란 얼마나 맑고 뜨겁고 쾌한 것인가 그래서 나, 그러한 쾌함이질박하고 넉넉할 수만 있다면그 사랑이 얼마나 장엄한 것일 것인가, 라고 썼다가또 지운다. 장엄하지 않으면 또 어쩔 것인가. 멧돼지처럼 진퇴를 모르고앞으로만 달려가는 그 외로운 질주들 그래서, 나 감히 쓴다.어떤 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너만을,이 문장 위에서 잠시 나는 숨이 가쁘다. 그건 또 얼마나 컴컴한 벼랑일 것인가 영원함을 믿었던 그것으로, 솔직하다는 것으로힘들었던그 많은 날들은 그래서, 나, 내 사랑은 근심이거나 통속이거나, 라고 쓰다가,이렇게 쾌한 우울 속에 있는 내가 바로 너이기에너를 자유롭게 놓아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