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2-4 네가지의 명제(2) 2-4 네가지의 명제(2) 연기공식에 맞춰서 그러면 부처님은 연기의 이법을 어떻게 해서 사제의 체계로까지 바꿔놓았던 것일까. 이에 대해서는 어느 경에서도 설명이 없다. 그러나 조용히 사제설법을 듣노라면 아아 그랬었구나 하고 수긍하게 된다. 먼저 사제의 첫 번째 명제인 고성제(苦聖諦)를 살펴보..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3
2-4 네가지의 명제(1) 2-4 네가지의 명제(1) 나뭇잎을 손에 들고 부처님의 초전법륜 즉 최초의 설법은 이렇게 하여 성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때 설법의 주내용이었다고 생각되는 사제(四諦)에 대해서는 좀더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사제야말로 불교교리의 가장 중요한 기초이기 때문이다. 실로 뒤에 발달한 모든 ..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3
2-3 최초의 설법(2) 2-3 최초의 설법(2) 네 가지 명제 ‘사제설법’이란 네 가지 명제로 된 설법이라는 의미를 가진 말이다. ‘제(諦, sacca)’란 일반적으로 진실 또는 진상을 뜻하는 말로 해석되고 있는 듯하다. 한편으로는 ‘엄숙한 단언’을 의미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오히려 후자의 뜻이 강하다 즉 부처님에 의해 엄숙..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3 최초의 설법(1) 2-3 최초의 설법(1) 녹야원에 이르다 나무 밑에서 여러 가지 생각을 정리하던 부처님은 이윽고 일어나 바라나시를 향해 출발했다. 최초의 설법을 위해서였다. 우루벨라에서 바라나시까지라면 대단히 먼 거리였다. 옛날 사람들은 그 거리를 19유순*(由旬:a distance of about 7 miles, yojana. 거리의 단위. 1유순은 ..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2 정각자의 고독(2) 2-2 정각자의 고독(2) 범천권청의 설화 그러나 부처님은 그때 자기 앞에 놓인 새로운 과제, 즉 설법에 대해서 처음에는 명백하게 주저했다. 한 경전*(남전 상응부경전(6.1) 勸請. 한역 증일아함경(19.1)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렇게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이 우루벨라 네란자라 강변인 아자파..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2.정각자의 고독(1) 2-2.정각자의 고독(1) 정각자의 고독을 설한 경전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성취한 지 얼마되지 않았을 무렵의 일이었다. 한 경* (남전 상응부경전(6ㆍ2) 恭敬. 한역 잡아함경(4ㆍ14) 尊重) 은 그때의 부처님에 대한 얘기를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은 우루..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2-1 부처님의 깨달음(2) 2-1 부처님의 깨달음(2) 무엇이 있기 때문에 연기의 공식을 말할 때 먼저 생각나는 경*(남전 상응부경전(12.10),大釋迦牟尼瞿曇.한역잡아함경(12.3) 佛縳) 이 있다. 그 전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나는 이렇게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이 사밧티(舍衛城)의 제다 숲 아나타핀디카(Anathapindika; 給孤獨) 동산에 .. ***초기경전/근본불교 강좌 2009.06.22
97. 사념처를 바르게 닦는 공덕 97. 사념처를 바르게 닦는 공덕 부처님이 쿠루수의 수도 캄마싯담마에 계실 때의 일이다. 어느 날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사념처 닦는 법에 대해 말씀했다. "중생들을 깨끗하게 하고 근심과 두려움을 없애주며 괴로움과 번뇌를 멸하게 하는 수행방법이 있으니 사념처(四念處)가 그것이다. 과거의 모든 부.. ***초기경전/중아함경 2009.06.19
95. 정말로 중요한 덕목 두 가지 95. 정말로 중요한 덕목 두 가지 부처님이 앙가국 첨파성 강가 연못가에 계실 때의 일이다. 첨파성에는 종덕이라는 바라문이 있었는데 그는 대대로 훌륭한 가문의 후예였다. 어느 날 그가 누각에 올라 사방을 바라보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강가 연못으로 가는 것이 보였다. 아랫사람을 불러 이유를 .. ***초기경전/중아함경 2009.06.19
94. 무상은 모든 수행의 근본 94. 무상은 모든 수행의 근본 부처님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의 일이다. 어느 날 부처님은 비구들에게 이렇게 말씀했다. "비구들이여. 만일 어떤 이학외도들이 그대들에게 묻기를 '무엇이 모든 일의 근본이 되느냐'고 묻거든 욕심이 근본이 된다고 대답하라. 그들이 다시 무엇이 존재(有)가 되.. ***초기경전/중아함경 2009.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