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인터뷰 30 청허 휴정 스님 가상 인터뷰 30 청허 휴정 스님 “정진이 석가모니요 밝은 마음이 문수보살” 고려불교의 찬란함을 뒤로 한 채 탄압과 굴욕으로 점철된 조선불교 500년. 서산대사로 더 유명한 청허당 휴정(1520~1604) 스님은 칠흑 같은 밤을 환히 밝힌 횃불이었다. 조선불교는 서산의 바다에 모였다가 다시 서산으로 퍼져..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3
가상 인터뷰 29 허응 보우 스님 가상 인터뷰 29 허응 보우 스님 “이 몸 바쳐 법등 밝힐 수 있다면 무얼 주저하랴”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그 선택은 욕망의 충족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때로는 무소유나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허응당 보우(虛應 普雨, 1507?~1509) 스님은 맨발로 가시밭길을 걸어야 하는 고난의 ..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3
가상 인터뷰 28 설잠 김시습 스님 가상 인터뷰 28 설잠 김시습 스님 “다시는 노예 되지 않고 오직 주인공으로 살아가리라” 흔히 초인간적인 힘에 의해 목숨이나 상황이 정해져 있다는 것을 운명이라 한다. 원인 없이 나타나는 결과가 무엇 하나 있을까만 한 치 앞을 알 수 없기에 굳이 운명을 얘기하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말을 받..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2
가상 인터뷰 27 혜각존자 신미 스님 가상 인터뷰 27 혜각존자 신미 스님 나를 내려놓을 때 불법은 절로 드러난다네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은 태조에서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27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것으로 1,893권 888책이라는 방대함과 조선시대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망라하고 있어서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귀중..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2
46. 운허(耘虛) 용하(龍夏)대사 46. 운허(耘虛) 용하(龍夏)대사 운허용하(耘虛龍夏 1892-1980). 근대 대강백, 대장경 한글화의 주역(主投). 평북(平北) 정주(定州)사람, 성은 이씨(李氏) 속명은 학수(學洙), 춘원(春園)의 재종제(再從弟). 어려서 향리에서 한학(漢學)과 현대학문을 수업하고, 1912년 한일합방에 항거하여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1
45. 효봉(曉峰)선사 45. 효봉(曉峰)선사 (1) 선동(禪童)의 환생(還生) 스님은 1888년 5월 28일 평안남도(平安南道) 양덕군(陽德郡) 쌍용면 (雙龍面) 반성리(盤城里) 금성동(錦城洞)에서 수안(遂安) 이씨(李氏) 병억(炳億)을 아버지로 김씨(金氏)를 어머니로 오형제 중에서 삼남(三男)으로 태어났다. 이름은 찬형(燦亨). 어려서부터..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1
가상 인터뷰 26 함허당 득통 기화 스님 가상 인터뷰 26 함허당 득통 기화 스님 이단은 없다, 이단이란 편견만 있을 뿐 사람이 나고 성장하고 늙어 죽어가듯 사상이나 종교도 흥망성쇠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신라와 고려시대 그 화려했던 불교의 영광은 조선시대로 접어들며 옛 이야기로 전락하고 존립기반마저 뿌리 채 흔들렸다. 새 ..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0
가상 인터뷰 25 무학자초 대사 가상 인터뷰 25 무학자초 대사 정권이 무너져 천하가 산다면 그 길을 가리라 마지막 왕사 무학 자초(無學自超, 1327~1405) 대사는 조선왕조 탄생의 산파역을 담당했고 조선의 도읍이 한양이 되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고승이다. 풍수와 도참으로 온갖 전설과 신비의 대상이 된 무학대사. 역..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20
44. 한암(漢嚴) 선사 44. 한암(漢嚴) 선사 (1) 회의 (懷疑)를 품고 어느 시골 서당(書堂)에서 나이 겨우 9살인 소년 하나가 『사략(史略)』을 읽고 있었다.‘태고에 천황씨(天皇氏)가 있었다·’ 첫 대목을 읽던 소년은 선생을 향하여 물었다. "태고에 천황씨가 있었다 하였는데 그러면 천황씨 이전엔 누가 있었습니까?" 당돌한..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18
43. 용성(龍城)선사 43. 용성(龍城)선사 -불교현대화를 선도(先導)한 암흑기의 큰 별- (1) 시대적 배경 용성선사가 살다간 시대는 우리 민족사와 한국 불교사에 있어서 가장 암울한 시기였다· 역사적으로는 조선 5백년 동안의 숭유배불정책으로 천대와 멸시를 받아 왔으며 도성의 출입조차 금지된 8천민의 집단 가운데 하.. ***풍경소리/옛스님 이야기 2008.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