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1083

[김성구교수의 불교와 과학] ⑭ 사량분별(思量分別)

[김성구교수의 불교와 과학] ⑭ 사량분별(思量分別) [크게][작게] ‘너’와 ‘나’ 분별하는논리, 고전물리학바탕 불교와양자역학에서는 이분법적사고경계 기사등록일 [2009년 07월 28일 18:40 화요일] 불교는 ‘나’와 ‘너’를 구별하는 것이 허망분별이라고 하며 선악시비(善惡是非)를 일삼는 사량분..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5 / 파아욱

법문5 정신을 분석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지난번 법문에서 사대요소 명상을 개발하는 방법과 깔라파라 불리는 물질의 분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오늘은 법문에서 위빠사나 수행의 두 번째 단계인 정신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정신을 식별하는데 알아야 하는 기초 이론을 간락하..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4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4 물질을 식별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오늘은 물질의 요소를 분석하는 사대요소 명상에 대해 설명하겠다. 물질은 오온의 첫 번째이다. 나머지 4개는 정신이다. 정신은 물질에 의존한다. 마음은 각각의 물질 토대에 의존해서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눈, 귀, 코, 혀, 몸의 물질에서는 문과 토대가 같다. ..

[스크랩] 초기불교로 듣는 오온 (五蘊) 이야기

초기불교로 듣는 오온(五蘊) 이야기 다시 듣는 오온이야기 오온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으면 언제나 그렇듯이 흥미가 있다. 책을 통해서 또는 법문을 통해서, 강연을 통해서 수 없이 들어 왔지만 그 때 마다 새롭다. 그런데 듣고 나면 금방 잊어 버리고 다시 들으면 생소한 느낌은 어쩔 수 없다. 아마도 ..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3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3 사무량심과 4보호명상을 개발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오늘은 사무량심과 4보호명상을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사무량심은 아래의 4가지 명상 주제이다. 1. 자애(慈)...............................................................................(mettā) 2. 연민(悲)..................................................................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2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2 다른 명상 주제에서 본삼매를 개발하는 방법 이전의 법문에서 아나파나 사띠를 명상 주제로서 사선정까지 개발하는 방법과 5가지 자유자재함을 숙달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앞에서 말했듯이 삼매의 빛이 밝게 빛날 때, 수행자가 원한다면 위빠사나 명상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계속해서 수..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1 / 파아욱 또야 사야도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 무념 옮김 법 공 양 이 책은 역자의 허락 없이 출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용을 절대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누구든지 부처님의 정통 가르침을 세상에 알리고자 하시는 분은 법보시용으로 출판하셔서 공..

중국선에 미친 노장사상의 영향 / 김진무

중국선에 미친 노장사상의 영향 / 김진무 특집 | 불교와 도교의 대립과 융합 [39호] 2009년 06월 10일 (수) 김진무 kimjinmoo@naver.com 1. 서언(緖言) 중국의 불교 전래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최고 권력기관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민중에 ‘이식(移植)’을 시도함으로부터 이루어졌다고 하겠다. 그것은 고대국..

불교와 도교, 대립과 투쟁 그리고 융합 / 최일범

불교와 도교, 대립과 투쟁 그리고 융합 / 최일범 특집 - 불교와 도교의 대립과 융합 [39호] 2009년 06월 10일 (수) 최일범 cib424@naver.com 1. 서론 불교와 도교는 유교와 함께 중국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전통 사상 문화의 주류를 형성하여 소위 유불도 삼교라고 지칭된다. 그중에서 유교가 윤리도덕과 경세..

불교와 노장의 사유 방법 동이점(同異点) / 허인섭

불교와 노장의 사유 방법 동이점(同異点) / 허인섭 특집 | 불교와 도교의 대립과 융합 [39호] 2009년 06월 10일 (수) 허인섭 his@duksung.ac.kr 1. 들어가는 말 중국불교의 특성을 이야기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불교 사상과 노장 사상의 융합일 것이다. 실제 중국인의 불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