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선불교/신심명(信心銘)·증도가(證道歌) 70

[다시읽는 신심명] 17. 마음의 이중적 욕망

[다시읽는 신심명] 17. 마음의 이중적 욕망 [크게][작게] 탐욕과 원력은 모두 욕망의 또 다른 이름 성불이란 탐욕을 원력심으로 교체하는 것 기사등록일 [2009년 09월 29일 11:42 화요일] “두 견해에 머물지도 말고, 삼가 좇아가 찾지도 말라. 잠깐이라도 시비를 일으키면 어지러이 본 마음을 잃으리라.” 여..

[다시읽는 신심명] 16. 마음의 본래성

[다시읽는 신심명] 16. 마음의 본래성 [크게][작게] 돈·명예 멀리하는 것도 소유론적 사고 일상 잘 영위하려면 오직 ‘귀근득지’ 뿐 기사등록일 [2009년 09월 15일 10:47 화요일] 우리는 불심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사회생활을 영위해 나갈 것인가를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사회생활은 돈, 권력, 명예, 지식 ..

[다시읽는 신심명] ⑮ 공동존재-공동소유는 별개

[다시읽는 신심명] ⑮ 공동존재-공동소유는 별개 [크게][작게] 중생적 소유의식은 자본주의에 적합 도덕적 이상주의도 소유주의 한 형태 기사등록일 [2009년 09월 02일 15:44 수요일] 우리가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사상의 핵심은 중생심은 소유론적이고 불심은 존재론적이라는 구분이다. 소유론적인 생각..

[다시읽는 신심명] ⑭ 사회생활에 필요한 소유와 수행

[다시읽는 신심명] ⑭ 사회생활에 필요한 소유와 수행 [크게][작게] 경제 생활 부정이 한국불교의 맹점 ‘공’만을 추구하는 것도 진리 아니다 기사등록일 [2009년 08월 18일 12:24 화요일] 사회생활 속에서의 대자적인 중생의 심리상태를 자연생활 속에서의 즉자적인 중생의 심리상태가 안고 있는 불심으..

[다시읽는 신심명]⑬ 불교의 수행법

[다시읽는 신심명]⑬ 불교의 수행법 [크게][작게] 세간서 소유의식 벗어나는 게 수행 출세간의 공한 법에 머물지 말아야 기사등록일 [2009년 08월 03일 10:24 월요일] 지난 회에 마음 상태를 철학적으로 즉자(卽自)와 대자(對自)로 나누어 구분했다. 인간이 외부의 자극을 받지 않고 자연 속에서 홀로 있으면..

[김형효 교수의 다시읽는 심신명] ⑫ 생활 속에 불심 그리기

[김형효 교수의 다시읽는 심신명] ⑫ 생활 속에 불심 그리기 [크게][작게] 불심은 공공의 이익으로 꽉찬 마음 소유론적 사고방식 벗어나면 ‘부처’ 기사등록일 [2009년 07월 14일 15:03 화요일] 지난 회에 불심은 사심이 없는 중생의 마음이라고 언명됐다. 사심이 없는 마음이라는 말을 많은 정치인들과 공..

[김형효 교수의 다시읽는 신심명] ⑪ 존재자적 사고방식

[김형효 교수의 다시읽는 신심명] ⑪ 존재자적 사고방식 [크게][작게] 사심 없는 중생심이 곧 참다운 불심 존재론적 사유는 하늘 같이 텅 비어 기사등록일 [2009년 06월 30일 15:51 화요일] 지난 회에 『신심명』을 도덕윤리적 사유로 대하지 말고, 존재론적 사유로 읽으라고 말했다. 이것은 사소한 충고가 ..

[김형효 교수의 다시 읽는 신심명] ⑩존재론적 사유

[김형효 교수의 다시 읽는 신심명] ⑩존재론적 사유 [크게][작게] 불교의 계율은 선정에 들기 위한 방편 도덕적 관점으론 여래 마음 이해 못해 기사등록일 [2009년 06월 16일 14:10 화요일] 다시 『신심명』의 원문을 보자. “어긋남과 따름이 서로 다툼은 마음의 병이 되나니(違順相爭 是謂心病), 현묘한 뜻..

[김형효 교수의 신심명]⑨색법의 이중성과 공의 반야지혜

[김형효 교수의 신심명]⑨색법의 이중성과 공의 반야지혜 [크게][작게] 선과 악은 서로 의지하는 볏짚 같은 관계 기사등록일 [2009년 05월 26일 11:16 화요일] 우리가 증득하고자 하는 불성은 결국 열린 본능인 셈이다. 자연 자체가 곧 본능이다. 인간을 제외한 모든 자연은 본능의 힘으로 살아가고 자신의 ..

[김형효 교수의 다시 읽는 신심명]⑧우주심과 인간심의 관계

[김형효 교수의 다시 읽는 신심명]⑧우주심과 인간심의 관계 [크게][작게] 직관력은 사리사욕 없는 통찰력을 의미 공평무사한 마음인 직관력이 바로 불성 기사등록일 [2009년 05월 03일 21:39 일요일] 지난 회에 우리는 자연적 본능과 사회적 지능(사회적 본능과 뒤섞인), 직관을 훑어보았다. 인간을 제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