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오(頓悟)한 사람도 다시 닦습니까? 그때 어떤 스님이 물었다. “돈오(頓悟)한 사람도 다시 닦습니까?” 위산(潙山)이 답했다. “만약 진실로 깨달아 근본을 얻어 그 스스로 알 때에는 닦고 닦지 않고 하는 것은 두 개의 상대적인 말일 뿐이다. 지금 초발심한 사람이 비록 인연 따라 한 생각에 문득 진리를 깨달았다 하더라도, 아직 ..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10.04
송광사 방장 보성스님 [염화실의 향기] 송광사 방장 보성스님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는 원래 송광산 조계사였던 산과 절이 이름을 맞바꿨다. 이곳에서 고려시대 보조국사 목우자(牧牛子) 지눌스님이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열었고, 이후 16명의 국사를 배출했다. 근세에는 효봉스님, 구산스님이 억불정책으로 끊겼던 조계..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10.02
얼음과 물 또 물었다. “무엇이 부처의 마음입니까?” 남양혜충(南陽慧忠) 국사가 답했다. “담, 벽, 기와 조각이니라.” “경전의 말과는 크게 어긋나는군요. <열반경>에 이르기를, ‘담, 벽, 등 무정을 벗어났기 때문에 불성이라 한다’ 했는데, 지금 도리어 이것들을 불심이라 하시니 심(心)과 성(性)이 같..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10.01
만법과 더불어 짝하지 않는 자 방거사는 뒤에 강서로 가서 마조를 만나 물었다. “만법과 더불어 짝하지 않는 자는 어떤 사람입니까?” “그대가 한모금에 서강(西江)의 물을 모두 마신다면, 그대에게 말해 주리라.” 방거사는 이 말을 듣고 문득 현요를 알아차렸다.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10.01
달리 구하지 말라 “스님!” 영묵이 머리를 돌리자, 석두가 말했다. “태어나서 늙을 때까지 다만 이것일 뿐이니, 또 달리 구하지 말게!” 영묵은 이 말을 듣고 크게 깨닫고는, 곧 지팡이를 꺾어버리고 그곳에 머물렀다.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10.01
평상심이 곧 도 종심은 다른 날 남전(南泉)에게 물었다. “무엇이 도입니까?” “평상심(平常心)이 도이니라.” “향하여 나아갈 수 있는지요?” “향하려 하면 곧 어긋나느니라.” “향하려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도를 알 수 있습니까?” “도는 알고 알지 못함에 있지 않다. 안다고 하면 망령이요, 알지 못한다면 무..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10.01
달마의 피육골수(皮肉骨髓) 달마가 인도로 돌아가려 할 때 제자들에게 말했다. “때가 되었다. 너희들은 각자 얻은 바를 말해 보라.” 제자 도부(道副)가 말했다. “저의 소견으로는, 문자에 집착하지도 않고 문자를 여의지도 않는 것이 도의 쓰임입니다.” 달마가 말했다. “너의 나의 피부를 얻었다.” 니총지가 말했다. “저의 ..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10.01
만공 스님 시중(示衆) 만공 스님이 법좌에 올라 주장자로 법상을 세 번 내리찍고 말씀을 하셨다. “한 개의 물건도 만들지 아니한 것을 두고 이름하여 道를 지음이라 하고, 한 개의 물건도 눈으로 보지 아니한 것을 두고 이름하여 道를 본 것이라 하고, 한 개의 물건도 닦지 아니한 것을 두고 이름하여 道를 닦는다 하고 한 ..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09.28
봉국사 주지 월서 스님 [염화실의 향기] 봉국사 주지 월서스님 “삶은 무상… 욕심·화·집착 줄여야” 1953년 겨울, 경남 함양 땅 지리산 자락. 빨치산 소탕을 위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었다. 17살 소년은 고향땅을 지키기 위해 전투경찰에 입대했다. 내가 살기 위해 남을 죽여야 하는 지옥 같은 날들이 이어졌다. 눈을 ..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09.27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광고’가 만들어낸 허상을 먹고 입고 좇을 것인가 <오래된 미래> 저자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여사 오늘 이 자리에서 여러분과 이야기를 나누게 되어 매우 영광입니다. 저는 현대사회에서 불교의 역할에 대해 여러분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부처님 재세시, 그리고 위대한 영적 지도자들이 살았.. ***풍경소리/염화실의 향기 200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