譯註 首楞嚴經 제 129 회(제7권 <정종분> 修道分 : 3.攝持軌則) ㈂ 像說儀式 令其四外에는 遍懸幡華하고 於壇室中에는 四壁敷設十方如來와 及諸菩薩所有形象호대 應於當陽에는 張盧舍那와 釋迦彌勒과 阿&#38310;彌陀하고 諸大變化한 觀音形像과 兼金剛藏은 安其左右하며 帝釋梵王과 烏芻瑟摩와 幷藍地迦와 諸軍茶利와 與毗俱&#32989;와 四天王等과 頻那夜迦..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30
譯註 首楞嚴經 제 128 회(제7권 <정종분> 修道分 : 3.攝持軌則) ㈑ 結壇軌則 ㉮ 阿難詳問 阿難白佛言호대 世尊我蒙如來無上悲誨하고 心已開悟일새 自知修證無學道成어니와 末法修行建立道場인댄 云何結界하야 合佛世尊淸淨軌則이닛고 아난이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어! 저는 여래의 위없이 자비하신 가르침을 입고 마음이 이미 열리어 스스로 더 배울 ..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30
譯註 首楞嚴經 제 127 회(제7권 <정종분> 修道分 : 3.攝持軌則) 大佛頂 如來密因 修證了義 諸菩薩萬行 首楞嚴經 제7권 ② 外攝軌則 &#12928; 徵引內攝 阿難汝問攝心할새 我今先說入三摩地修學妙門호니 求菩薩道인댄 要先持此四種律儀호대 皎如&#20912;霜하면 不自能生一切枝葉이며 心三口四가 生必無因하리라 阿難如是四事를 若不遺失이면 心尙不緣色香味觸..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27
譯註 首楞嚴經 제 126 회(제6권 <정종분> 修道分 : 3.攝持軌則) ㈑ 妄 ㉮ 犯則墮失 阿難又諸世界의 六道衆生이 雖則其心無殺盜淫하야 三行已圓이라도 若大妄語卽三摩地에 不得淸淨하고 成愛見魔하야 失如來種하리니 所謂未得謂得하고 未證言證하며 或求世間尊勝第一하야 謂前人言호대 我今已得須陀洹果와 斯陀含果와 阿那含果와 阿羅漢道와 &#36767;支佛乘..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27
譯註 首楞嚴經 제 125 회(제6권 <정종분> 修道分 : 3.攝持軌則) ㈐ 盜 ㉮ 持則出纏 阿難又諸世界六道衆生이 其心不偸하면 則不隨其生死相續하리라 아난아! 모든 세계 육도의 중생들이 마음에 훔칠 생각이 없으면 생사의 상속을 따르지 않게 될 것이다. ㉯ 犯則墜墮 汝修三昧는 本出塵勞어니와 偸心不除하면 塵不可出이라 縱有多智하야 禪定現前이라도 汝不斷偸..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27
譯註 首楞嚴經 제 124 회(제6권 <정종분> 修道分 : 3.攝持軌則) ㉯ 犯則墜墮 汝修三昧는 本出塵勞이라 淫心不除하면 塵不可出이니라 縱有多智하야 禪定現前이라도 汝不斷淫하면 必落魔道하야 上品魔王하고 中品魔民하며 下品魔女하니 彼等諸魔亦有徒衆하야 各各自謂호대 成無上道하니라 너에게 삼매를 닦게 한 것은 본래 마음을 더럽히고 피곤하게 하는 번뇌[..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27
譯註 首楞嚴經 제 123 회(제6권 <정종분> 修道分 : 3.攝持軌則) 3.攝持軌則 1) 阿難聽問 阿難整衣服하고 望大衆中에 合掌頂禮하고 心跡圓明하고 悲欣交集하야 欲 益未來諸衆生故로 稽首白佛호대 大悲世尊이시어 我今已悟成佛法門하야 是中修行得無&#31001;惑어니와 常聞如來說如是言하사대 自未得度코 先度人者는 菩薩發心이요 自覺已圓코 能覺他者는 如來應..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27
譯註 首楞嚴經 제 122 회(제6권 <정종분> 修道分:2. 修行眞要) &#9403; 結益 大衆及阿難이여 旋汝倒聞機하라 反聞聞自性하면 性成無上道하리니 圓通實如是니라 대중이여! 아난이여! 그대들의 전도된 들음을 돌이켜, 듣는 성품을 듣는다면 그 성품은 바로 최상의 도를 이루게 될 것이니 원통의 진실이 이와 같은 것이다. &#9404; 策進 此是微塵佛의 一路涅槃門이..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27
譯註 首楞嚴經 제 121 회(제6권 <정종분> 修道分:2. 修行眞要) ㉣ 明&#26644;機 今此娑婆國은 聲論得宣明어늘 衆生迷本聞하고 循聲故流轉이니다 阿難縱强記나 不免落邪思니 豈非隨所淪이리요 旋流獲無妄이니다 지금 이 사바세계는 소리와 언어라야 밝힐 수 있는데, 중생들이 본래의 듣는 성품을 미혹하여 소리만 따라가기 때문에 한없이 윤회[流轉]하게 됩니다..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13
譯註 首楞嚴經 제 120 회(제6권 <정종분> 修道分:2. 修行眞要) ㈃ 揀七大 若以地性觀하면 堅&#31001;非通達이라 有爲非聖性어늘 云何獲圓通이리요 若以水性觀하면 想念非眞實이라 如如非覺觀이어니 云何獲圓通이리요 若以火姓觀하면 厭有非眞離라 非初心方便어니 云何獲圓通이리요 若以風性觀하면 動寂非無對이니 對非無上覺어늘 云何獲圓通이리요 若以空.. ***대승경전/수능엄경(首楞嚴經) 2008.06.13